본문 바로가기
종류별 암/위암

[스크랩] 위암 수술 후 5년, 100명 중 8명 ‘재발’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7. 2. 5.

한 대학병원의 연구결과 위암 재발 환자 100명 중 8명이 완치로 판단되는 5년 후에도 암이 다시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꾸준한 검진의 중요성이 다시 한 번 입증되는 대목이다.

서울백병원 외과_이우용 교수
서울백병원 외과_이우용 교수

서울백병원 외과 이우용 교수

인제대 서울백병원 위암센터 이우용 교수팀이 1998년부터 2002년까지 병원에서 위암 수술을 받은 환자 1,299명을 분석한 결과 20.5%(266명)에서 암이 재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Chinese Journal of Cancer Research`에 소개됐다.

5년 이후 재발한 환자가 8.6%(23명)였으며, 2~5년 사이 재발 환자가 22.9%(61명), 수술 후 2년이 채 안 돼 암이 재발한 경우가 68.4%(182명)로 가장 많았다.

연구 결과 나이가 젊고 종양 크기가 클수록 5년 이후 재발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재발하는 시기별로 전이 부위도 조금씩 달랐다. 5년 이후 재발한 경우 위 주위에 발생하는 국소전이(43.4%, 10명)가 가장 많았으나 2년 이하에서 재발한 경우 복막전이(40.6%, 74명)가 가장 많았다.

암 재발 발생 시기 그래프
암 재발 발생 시기 그래프


전체 재발환자 전이 부위는 복막전이가 40%(107명)로 가장 많았으며, 26.7%(71명) 국소전이(췌장, 대동맥 등, 위 절제 후 위 주변에 남아있는 부위), 17.6% 다중전이(여러 장기에 발생), 15.4%에서 혈종전이(간, 폐, 뇌 등 혈액이 흐르는 장기)를 보였다. 재발 환자 모두 90% 이상 림프샘 전이(후기 96.5%, 중기 91.8%, 초기 96.1%)가 있었다.

이우용 위암센터(외과) 교수는 "암이 5년 이상 재발하지 않으면 완치됐다는 생각에 몸 관리를 소홀히 하고 정기 검진도 받지 않는 경우가 있다"며 "하지만 이번 연구결과 위암 수술 후 5년이 지났다 하더라도 재발할 가능성이 항시 있으므로 암 환자는 정기적인 검진이 필수적이며, 재발을 조기 발견해 가능한 한 빨리 후속 맞춤 치료를 실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학신문 의학신문 오인규 기자 529@bosa.co.kr

  •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171397

  •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정운봉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