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활동에 꼭 필요한 효소와 미네랄의 관계
분자영양학 박사인 ‘야마다 도요후미’박사는 효소와 미네랄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세포는 영양물질을 재료로 신체의 부품을 만들거나 조립하며, 생명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기 위해 끊임없이 화학반응을 일으킵니다. 따라서 세포는 화학공장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세포내에서 화학반응을 점화시킬 성냥이 필요한데, 그 역할을 하는 것이 효소입니다.
효소는 세포내에서 합성되는데, 대부분 단백질로 되어 있고, 비타민과 미네랄로 결합되어 있습니다.
생명이 탄생한 이래 47억 년이라는 장구한 세월동안 생물은 자신에게 유리한 형태로 대사하는 능력을 터득했고, 미네랄은 그 활동에 커다란 작용을 합니다. 생물의 생명유지에 소요되는 에너지는 체내에서 물질이 화학변화를 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데, 에너지를 생산하는 미토콘드리아는 세포내 소기관에서 산소를 이용하면 효율이 크게 향상됩니다. 물론 그러기 위해서는 체내에서 산화환원 작용에 필요한 효소를 합성해야 합니다. 그래서 다시 해양 미네랄을 이용하여 효소를 활성화 했습니다.
철이나 구리 등도 생체내의 산화환원 효소와 관계를 맺고 있고, 아연은 생물이 단백질을 재료로 생체에 필요한 것을 만들 때 물을 이용하여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가수분해 효소의 주역입니다.
단, 에너지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산소는 그 자체가 반응성이 강해 생물에게는 위험물질이 될 수 있으므로, 그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산소를 무독화 시키는 효소를 합성하는 유전자도 획득했는데, 활성산소의 독을 제거하는‘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OD)’ 라는 효소도 아연, 망간, 구리 등을 필요로 합니다.
이윽고 바다에서 육지로 진출한 생물은 토양과 식물을 통해 바다에는 적은 다른 미네랄도 이용할 수 있게 되었고, 더욱 복잡한 효소와 암호, 생명활동에 필요한 기능을 획득해 가면서 서서히 고등생물로 진화했으며, 현재의 인류는 그 정점에 있습니다.
효소가 하는 역할에 대한 예를 들면, 음식물로 섭취한 단백질은 위에서 단백질소화효소인 펩신에 의해 대충 소화되고, 이어 소장에서 췌장계 단백질효소와 소장계 단백질효소 등에 의해 아미노산으로 분해됩니다.
그리고 그것은 소장의 벽에서 흡수되어 간으로 보내집니다. 물론 여기에서도 각종 효소의 기능으로 각 세포내에서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의 단백질로 합성됩니다.
마찬가지로 탄수화물이나 지방 등 에너지원이 되는 영양소를 이용하려면 효소가 필요한데, 효소작용에 필요한 비타민과 미네랄이 결여되어 있으면 적절한 생리반응을 지속시키기 힘듭니다.
따라서 대사기능의 약화로 처음에는 안색이 나빠지고 만성피로, 집중력 저하, 어깨 결림 등의 증상이 나타나다가 상태가 개선되지 않으면 큰 병으로 발전합니다.
효소는 체내에서 합성되는 효소와 체외에서 섭취하는 효소가 있습니다. 체내에서 합성된 효소가 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필요한데, 비타민과 미네랄이 부족하다면 비록 체내에서 많은 효소가 합성된다 할지라도 인체가 생명활동에 필요한 효소는 부족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체외에서 섭취하는 효소의 대부분은 48°C 이상의 열로 처리하면 파괴됩니다. 따라서 화식을 주로 하는 현대인들은 효소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게 된 것입니다.
따라서 체외에서 효소가 파괴되지 않도록 생식을 많이 하는 것이 좋습니다.
출처 : 해독의 기원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 > 크리에이터 정관진 저작권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레스로 인한 혈액의 산성화를 막아주는 칼슘 (0) | 2017.01.22 |
---|---|
해독작용을 하는 식이섬유 (0) | 2017.01.22 |
건강식품의 올바른 선택 기준 (0) | 2017.01.18 |
16단계를 거친 해독과 체중조절 프로그램 (0) | 2017.01.15 |
체중조절을 위해 꼭 필요한 영양소 (0) | 2017.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