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류별 암/담도암

[스크랩] 국내 연구진 개발 ‘담도암 병기 분류법’ 세계 표준 채택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6. 12. 22.


▲담도암 병리조직사진(HE 염색사진) (사진=서울아산병원 제공)
▲담도암 병리조직사진(HE 염색사진) (사진=서울아산병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담도암 병기 분류법이 전 세계 담도암 환자의 진단 및 치료 표준 지침으로 사용된다.

서울아산병원 병리과 홍승모 교수 연구팀은 암세포의 특정 침윤 깊이(5mm 및 12mm)에 따라 간외 담도암의 병기를 나누는 분류법을 새롭게 고안해 미국암연합위원회가 제정하는 제8판 암 병기 매뉴얼의 공식 담도암 병기 분류법으로 채택됐다고 최근 밝혔다.

미국암연합위원회(AJCC)의 암 병기 매뉴얼은 세계 의학계가 암 병기 결정시 따르는 국제 표준 지침서로서, 6∼8년마다 새로운 병기 분류 기준을 개정한다. 무엇보다 국내 연구팀이 제시한 기준을 공식적으로 채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의 새 병기 분류법은 오는 2017년 1월1일부터 전 세계 병원 등 임상 현장에서 담도암의 병기 결정에 실제 적용, 기존 방식보다 병기별 생존율을 보다 정확히 제공해 환자의 치료 방향을 결정하고 예후를 예측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담도암은 간에서 분비된 담즙이 십이지장으로 보내지는 통로인 담도(담관)에 발생하는 암으로, 암의 위치에 따라 간외 담도암과 간내 담도암으로 나눈다.

암 병기 매뉴얼은 담도암의 병기를 결정할 때 암의 침윤 깊이(T), 임파선의 전이(N), 다른 장기로의 전이(M)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TNM 분류법을 사용한다.

특히 담도암은 위나 대장 등의 위장관과 같이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태의 동일한 구조적 특징 때문에 위장관계에서 발생한 암의 T병기 분류를 그대로 따른다. 이에 기존에는 담도벽을 이루는 점막층과 섬유근층 등 조직층의 침윤 정도가 그 기준으로 사용됐다.

그러나 연구팀은 담도암의 조직학적 구조에 주목해 이러한 위장관계 암과 동일한 분류법을 적용하는 것이 부정확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먼저 서울아산병원에서 담도암 수술을 받은 환자 101명을 대상으로 담도벽을 구성하는 평활근의 분포가 담도의 위치에 따라 확연히 다르다는 것을 발견, 담도의 조직학적 구조가 일반적인 위장관의 구조와 전혀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담도암의 경우 암세포가 침윤하면서 주변 조직을 파괴하고 딱딱하게 만들어 잔존 조직 구조를 지표로 사용할 수 없다는 점도 밝혀 위장관계 암 분류법이 근본적으로 맞지 않다는 것을 주장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팀은 서울아산병원에서 담도암 수술을 받은 환자 222명을 대상으로 기존의 T병기별 생존율을 분석, 2기와 3기 환자 생존율에 차이가 없음을 2005년 미국 암협회 학술지 캔서에 발표하며 기존 분류법의 부정확성을 지적했다.

아울러 연구팀은 병기 설정을 위한 새 지표를 알아보고자 암세포 침윤 깊이에 따른 담도암 환자의 생존율을 분석하기도.

수술 환자 222명의 각 담도암 조직 검체를 대상으로 주변 정상 담도 상피의 기저층으로부터 암세포가 가장 깊숙이 침윤한 부위까지의 깊이를 측정했다. 결과에 따르면 측정 수치가 5mm미만일 경우 중앙생존기간(100명의 환자를 생존기간의 순서대로 나열할 때에 50번째 환자가 생존하는 기간)이 61개월이었으며, 5mm이상에서 12mm이하일 경우 그 기간이 23개월, 12mm초과하는 경우 그 기간이 17개월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담도암 세포의 침윤 깊이를 객관적 수치로 분류했을 때 생존율의 유의한 차이를 발견한 연구는 최초였으며, 해당 연구는 2007년 미국 외과병리학 학회지(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에 발표됐다.

그리고 새로운 T병기 분류법을 검토하기 위해 미국 존스홉킨스대학병원의 담도암 환자 147명에게 이를 적용해 5년 생존율을 분석했다. 암세포의 침윤 깊이가 5mm미만일 경우 69%, 5mm이상에서 12mm이하일 경우 22%, 12mm초과일 경우 4%라는 현저한 차이를 확인했으며 해당 연구 결과는 2009년 국제학술지 서저리(Surgery)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일련의 연구에서 암세포의 특정 침윤 깊이에 따라 간외 담도암의 병기를 나누는 분류법을 새롭게 고안했고, 5mm미만일 경우 담도암 T병기가 1기, 5mm이상에서 12mm이하일 경우 2기, 12mm초과일 경우 3기로 결정했다.

기존 간외 담도암 병기 분류의 한계를 극복하고 병기별 생존율을 정확히 제공한 새 병기 분류법은 암세포의 특정 침윤 깊이라는 객관적 지표로 병기를 쉽게 분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홍승모 교수는 “국제표준으로 사용되는 미국암연합위원회의 암 병기가 국내 연구자와 서울아산병원의 임상 자료를 이용해 개정됐다는 것은 처음 있는 사례로 그 의미가 특별하다”며 “세계적 수준에 도달한 서울아산병원 등 국내 암 진단 및 치료 성적을 바탕으로 담도암 치료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담도암 뿐 아니라 췌장암, 담낭암 등 췌담도계에서 발생한 암에 대한 보다 정확한 암 병기 개발을 위해 연구에 더욱 매진하겠다”며 각오를 밝혔다.


메디컬투데이 김혜인 기자 hyein@mdtoday.co.kr

  •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167071

  •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정운봉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