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지역사회건강조사자 23만명 대상 자살 위험 분석 연구 결과
뇌졸중 환자의 자살시도율이 일반인에 비해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대구로병원 뇌신경센터 김지현 교수팀이 2013년 지역사회건강조사자인 22만 8735명의 설문조사 기록을 분석해 뇌졸중 환자(4560명)와 뇌졸중 환자가 아닌 사람(22만 4175명)의 자살생각 및 자살 시도 위험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다.
![뇌졸중환자의 자살시도율이 일반인에 비해 3배 이상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뇌졸중에 대한 지속적인 사회의 관심이 필요하다](http://health.chosun.com/site/data/img_dir/2016/10/31/2016103101501_0.jpg)
뇌졸중이 자살위험성을 높이는 것과 연관성이 있다는 것은 기존에도 국내외 여러 연구를 통해 알려져 있었지만, 국내에서 23만여 명에 이르는 대단위 인구를 대상으로 뇌졸중과 자살위험성에 대해 분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이 분석한 결과 일반인의 5.7%(1만 2802명)가 평소 우울감을 느끼는 반면, 뇌졸중 환자는 이보다 2배 이상 많은 12.6%(572명)가 우울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살을 생각하는 비율은 일반인이 9.8%(2만 2063명), 뇌졸중 환자가 24.4%(1113명)로 뇌졸중 환자가 약 2.5배 높았다. 자살을 행동에 옮기는 자살시도는 뇌졸중 환자가 1.3%(58명)로 일반인의 0.4%(935명)과 비교해 3배 이상 높았다.
고대구로병원 뇌신경센터 김지현 교수는 “이번 연구는 자발적인 응답이 가능한 상대적으로 경증의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집계된 자료를 분석한 것인 만큼, 실제 비율은 더 높을 수 있다”면서 “의료진 및 가족이 뇌졸중 환자에 대한 자살경향성을 주의 깊게 살펴봐야하며 자살방지를 위한 프로그램이 마련되고, 주변에서도 심리사회적인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뇌졸중 환자에 있어서 우울증은 가장 흔히 나타나는 정서 장애이며, 이는 자살 위험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번 연구는 뇌졸중이 사회경제적 지위, 소득정도, 정신건강상태 등 다른 자살경향성 상승 요인을 배제해도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김 교수는 “국내 뇌졸중 환자 발생 수는 노인인구 증가의 영향으로 2030년에는 인구 10만 명당 600여 명 가량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며 “뇌졸중은 본인은 물론 가족에게도 큰 후유증을 남기는 질환인 만큼 지속적인 사회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 연구 논문은 올해 7월 journal of neurology에 게재됐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0/31/2016103101603.html
'질병 > 고혈압, 중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서울백병원, `고혈압 치료법` 건강강좌 개최 (0) | 2016.11.06 |
---|---|
[스크랩] 겨울철 찾아오는 불청객…‘뇌졸중’ 조심 (0) | 2016.11.06 |
강압제 ‘의사 사용감’ 처방 영향력 확대 (0) | 2016.10.31 |
[스크랩] 일교차 큰 요즘…고혈압 환자 ‘건강관리 주의보’ (0) | 2016.10.31 |
[스크랩] 하루 두 번 이상 탄산음료 마시면, 고혈압 위험 10.88배 증가 (0) | 2016.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