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합병증 중 하나인 ‘당뇨병성 망막병증’을 앓는 여성은 폐경 이후 골밀도가 낮고 골다공증이 있을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강무일 교수와 안과 이원기 교수, 국립교통재활병원 내과 임예지 교수 공동연구팀이 2008년부터 2011년까지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참여자 중 골밀도와 당뇨망막병증 검사를 받은 50세 이상 남성 4,357명과 폐경 이후 여성 4,392명을 조사한 결과, 폐경 이후의 당뇨병 여성이 당뇨망막병증을 앓으면, 당뇨병만 있는 여성보다 3~5% 정도 골밀도가 낮고, 골다공증 유병률도 2.27배로 높았다. 이는 나이, 체질량지수, 당뇨 유병기간, 당뇨수치를 보정한 수치이다. 그러나 당뇨가 있는 남성은 당뇨망막병증의 유무에 따른 골밀도나 골다공증 유병률에 차이가 없었다.
당뇨병은 신체 내에서 혈당 조절에 필요한 인슐린 분비나 기능 장애로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아 발생하는 대사 질환으로 한번 발병하면 완치가 어렵고 평생 관리와 치료가 필요하다. 특히 ‘당뇨병성 망막병증’은 당뇨병의 합병증 가운데 하나로 망막 혈관에 순환 장애와 출혈이 생겨 시력을 잃게 만드는 증상이다. 당뇨병성 망막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원인 질환인 당뇨병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경우에는 정기적인 안저검사를 통해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해야 한다. 당뇨병 초기에 혈당조절이 잘 이루어지면 망막병증의 발생을 지연시킬 수 있으며, 발생한 후에도 철저한 혈당조절로 진행속도를 늦출 수 있다.
국립교통재활병원 임예지 교수는 “일반적으로 당뇨로 인해 고혈당이 오래 지속되면 골밀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번 연구는 혈당과 독립적으로 당뇨망막병증과 골밀도의 감소를 확인한 것으로, 망막병증이라는 합병증이 생긴 환자라면 미세혈관에 도 문제가 생겨 뼈 주변에 혈류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골 형성이 감소된 것으로 추측된다”고 말했다.
서울성모병원 강무일 교수는 “이번 연구로 당뇨가 있는 폐경 이후 여성의 당뇨망막병증이 낮은 골밀도 및 높은 골다공증 유병률과 연관성이 확인된 만큼, 당뇨망막병증이 진단된 폐경 이후의 여성은 골다공증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검사해 볼 것을 권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국제골다공증학회지(Osteoporosis International, IF 4.1)’ 2월호에 게재됐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7/07/2016070701024.html
'질병 > 당뇨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당뇨병약 `DPP4-억제제`가 당뇨망막병증 악화시킨다 (0) | 2016.07.11 |
---|---|
[스크랩] “당뇨병 인슐린 펌프, 인슐린 저항성 개선시켜 근본적 치료” (0) | 2016.07.08 |
'당뇨병' 앓은 사람 심장마비 사망 위험 50% 더 높아 (0) | 2016.06.27 |
[스크랩] 채혈기 잘못 사용하면 혈당 체크 하나마나 (0) | 2016.06.15 |
[스크랩] TV조선 <내 몸 사용 설명서>, 한국형 마른 당뇨를 잡아라! (0) | 2016.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