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만성폐색성폐질환(COPD), 버거병, 정신 및 행동장애 등 흡연 관련 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가 28만 명에 달했다. 이중 COPD 진료인원이 가장 많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은 ‘세계 금연의 날(5월 31일)’을 맞아 최근 5년간(2010~2014년)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를 이용한 ‘흡연’ 관련 질환의 진료 추이를 살펴본 결과, 지난해 총 진료인원은 약 28만3000명, 총 진료비는 약 1430억 원으로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심평원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2010년 약 29만1000명에서 2014년 약 28만3000명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8000명(-2.9%) 감소했다.
총 진료비는 2010년 약 1236억 원에서 2014년 약 1430억 원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194억 원(15.7%)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 관련 질환 진료인원의 90% 이상은 50세 이상으로 고연령층에서의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기준 연령구간별 진료인원은 70세 이상이 15만1000명(51.7%)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60대 7만3000명(25.1%), 50대 4만2000명(14.3%) 순으로 많았다.
‘흡연’ 관련 질환 중 COPD 진료인원은 27만6000명으로 가장 많았다.
심평원에 따르면 지난해 각 질환들의 진료인원은 ‘COPD’ 27만6000명, ‘버거병’ 5500명, ‘담배흡연에 의한 정신 및 행동장애’ 2200명 순이었다.
‘COPD’은 고연령층 진료인원의 비중이 높았으며, ‘담배흡연에 의한 정신 및 행동장애’는 중년층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담배흡연에 의한 정신 및 행동장애’의 진료인원은 매월 2~300명 수준이었으나, 지난해 12월 ‘담뱃값 인상’을 앞두고 금연을 결심한 인원이 증가하면서 진료인원이 500명 이상으로 증가했다.
‘COPD'는 기관지나 폐에 비정상적인 염증반응이 나타나며, ‘버거병’은 손과 발의 중소 동정맥에 염증과 혈전이 생기는 질환이다.
COPD의 경우 초기에는 증상을 전혀 느끼지 못하다가 질병이 진행되면서 만성기침, 가래, 호흡곤란이 나타나게 되며, 수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돼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안정 시에도 호흡곤란을 느낄 수 있다.
심평원 김학주 심사위원은 “흡연자는 기침, 가래, 손․발이 차거나 저림 등의 가벼운 증상이라도 진단을 받아야 하며, 간접흡연도 폐암이나, 허혈성 심질환, 호흡기질환, 유아 돌연사증후군 등의 위험 인자가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비흡연자도 간접흡연에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메디컬투데이 오승호 기자 gimimi@mdtoday.co.kr
'일반 건강상식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드르렁` 코골이, 혀·입 운동만 해도 완화 (0) | 2015.05.28 |
---|---|
[스크랩] 생활습관병이란? 혈액 속 콜레스테롤에 주목하자 (0) | 2015.05.26 |
[스크랩] 알레르기 비염 원인, 콧속에 들어온 먼지가… (0) | 2015.05.22 |
[스크랩] 하루 10분 눈 운동으로 안과 질환 예방 가능! (0) | 2015.05.22 |
[스크랩] 밥 천천히 먹으면 좋은 이유 (0) | 201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