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 과잉이 많은 요즘, 현대인들에게 다이어트는 필수사항이 되고 있다. 그러나 무리한 다이어트는 거식증과 폭식증 같은 섭식장애를 유발하는 등 오히려 건강을 해치는 요인이 된다. 강박적·습관적으로 다이어트를 하고 있다면 오히려 건강에 독이 된다.
- ▲ 줄자로 다리 굵기를 재고 있다./사진=조선일보 DB
◇저체중에 유난히 집착? '다이어트 중독'
건강상의 이유가 아닌, 더 마르게 보이기 위한 목적으로 끊임없이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이 많다. 심한 경우 저체중에 대한 강박증에 시달리기도 하는데, 이는 '다이어트 중독'이라고 볼 수 있다. 다이어트를 했을 때 안도감을 느끼고, 안 해서 체중이 조금이라도 늘면 불안감을 느끼는 집착 증상을 보이는 것이다.
체중에 대해 강박관념을 갖게 되면 거식증, 폭식증 등의 섭식장애가 생길 수 있다. 거식증은 말 그대로 음식 먹기를 거부해 저체중 상태에 빠지는 것이다. 거식증 환자들은 영양 부족 상태이기에 면역력이 떨어져 보통사람이라면 걸리지 않는 병까지도 걸릴 수가 있고, 변도 만들어지지 않아 변비가 흔하다. 여성의 경우 생리불순, 폐경, 불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폭식증은 음식을 한꺼번에 많이 먹고 토해 내기를 반복하는 증세로, 폭식 후 죄책감 때문에 토하거나 설사 등의 행동을 하는 경우가 많다. 폭식증 환자들은 대개 잦은 다이어트 시도와 실패 그리고 요요를 반복하는데, 이러한 악순환은 체중증가와 영양 불균형을 초래한다. 이들이 폭식할 때 먹는 음식들은 즉석식품 등 영양분을 제대로 갖추지 않은 음식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습관성 다이어트는 요요 현상에 취약
습관적으로 다이어트를 반복하면 음식 제한으로 인한 영양 불균형이 생기는데, 그 결과 한순간에 폭식이 유발되고, 그것은 요요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 우리 몸은 음식제한으로 에너지가 고갈되면 비상상태에 돌입해 에너지 사용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시작한다. 그렇게 대사기능이 최소화된 상태일 때, 폭식으로 갑자기 음식이 들어오면 대사기능은 오히려 훨씬 더 더뎌지고 에너지를 몸에 저장하려는 경향이 생긴다. 따라서 요요가 오면 체내의 지방량이 증가한다.
다이어트를 위해 식사 대신 셰이크나 식욕억제제를 마시는 경우도 있는데, 이 역시 부작용 위험이 있다. 갑자기 음식섭취량을 지나치게 줄이면 열량만 적어지는 게 아니라 영양부족 상태가 되고, 하루 600칼로리 이하를 섭취하면 뇌 기능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이때도 몸의 대사기능이 약화해 요요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식욕 중추를 건드리는 식욕억제제를 사용하면 심계항진(심장박동이 불규칙하거나 빠르게 느껴지는 것)이 나타날 위험도 있다.
◇다이어트 중독에서 탈출하는 방법
다이어트 중독 탈출은 자기 체중을 저체중으로 옮겨야 한다는 생각을 버리는 것에서 시작된다. 10~20대라면 자신의 신체에 불만을 품기보다 정상적인 형태를 갖춰가는 중이라는 믿음을 갖는 게 좋다. 다음으로 피해야 할 음식 리스트를 작성하면 도움된다. 살이 찔 만한 음식을 피하는 계획을 세워 그 리스트를 적는 것도 좋다.
다이어트를 위해서는 평소 식사 습관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배부른 순간에 숟가락을 내려놓고, 배고플 때까지는 되도록 먹지 않는 게 다이어트에 도움된다. 배가 부르거나 배가 고프다고 느끼는 것은 몸이 우리에게 주는 신호다. 이를 무시하고 배부를 때도 음식을 먹으면 식욕 중추가 자극을 받아 식욕을 억제하기 힘들어진다.
/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우준태 헬스조선 인턴기자
'질병 > 비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슬림한 허벅지 원한다면 셀룰라이트부터 없애야… 방법은? (0) | 2015.05.18 |
---|---|
[스크랩] 먹어도 배고파…`가짜 배고픔`을 아시나요 (0) | 2015.05.17 |
[스크랩] 영화관 팝콘이 다이어트의 적이라면… “뭘 먹어야 하지?” (0) | 2015.05.10 |
[스크랩] 의약품성분 등이 함유된 불법 다이어트 제품 판매한 일당 적발 (0) | 2015.05.10 |
[스크랩] 전효성, "뱃살 사진 보고 다이어트 결심" 어떤 운동했을까? (0) | 2015.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