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조선일보 DB
우리는 보통 호흡을 의식하면서 하지는 않는다. 그런데 불안한 상황이나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종종 갑자기 숨을 들이마셨다가 길게 내쉬게 되는데, 과호흡 상태가 되면 숨을 들이마시는 것만 의식하는 증상이 지속된다.
과호흡증후군은 호흡 중 이산화탄소가 과도하게 배출되어 혈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정상 범위 미만으로 낮아지는 질환으로, 연예인 중에서도 과호흡으로 실신을 한 경우가 종종 있다. 원더걸스의 멤버였던 선미가 인터뷰 도중 과호흡 증세로 쓰러진 일이 있고, 샤이니의 온유가 '스타킹' 녹화 중 웃음치료를 하다가 증상이 발생한 일도 있었다.
연예인들이 과호흡 증상을 겪는 원인은 체력저하와 심리적 스트레스를 꼽을 수 있다. 연예인 뿐만 아니라 체력이 떨어지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환경에 노출된 직장인이나 수험생들에게도 나타나기 쉽다. 과호흡증후군은 감정 기복이 심하고 불안을 많이 느끼거나 예민한 사람, 특정한 것에 공포를 느끼는 사람에게 주로 나타나는데, 이는 심리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증상이기 때문이다.
과호흡은 목에 뭔가 걸려있는 것 같거나 누군가 목을 조르는 것처럼 숨을 들이마시고 내쉬는 것이 힘들어지면서 심장이 두근거리게 되며 가슴도 답답해지고, 심장을 콕콕 찌르는 것 같은 느낌을 받기도 한다. 손발이 떨리면서 식은땀이 나기도 하며, 마비감을 느낄 수도 있고 두통이나 현기증이 생길 수도 있다.
과호흡 발작을 경험한 사람 중, 언제 또 증상이 일어날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기도 한다. 사람이 모여있는 곳, 밀폐된 공간,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답답함을 느끼는 빈도가 잦아질 수 있으며, 신경을 쓸 일이 많거나 긴장되는 순간에 과호흡 발작이 일어나 정신을 잃을 수도 있다. 이러한 증상 때문에 심할 경우엔 집 밖으로 나가는 것 자체가 두려운 일이되기도 한다.
과호흡 발작이 일어날 때는 당황하지 말고 봉지호흡법을 사용하면 된다. 봉지로 코와 입을 막고 호흡을 하게 되면 이산화탄소를 마시게 되어 일시적으로 완화된다. 그런데 이는 응급조치일 뿐 치료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호흡이 진정된 이후에는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원인이 다양하기 때문에 신체적 질병으로 나타난 현상이라면 그 질병을 치료하면 되고, 정신적인 문제라면 정서적 안정을 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불안감을 억제하는 약을 처방하기도 한다. 이 증세는 재발하기 쉽기 때문에 평소에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이 좋다.
/ 권선미 헬스조선 인턴기자
'질병 > 그밖의 중요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혈액순환 안 되는 중장년층, 하지정맥류도 조심해야 (0) | 2014.06.19 |
---|---|
[스크랩] 고지혈증 환자, 5060세대와 여성에게 많은 이유 (0) | 2014.06.12 |
[스크랩] 빨리 온 더위, 빨리 온 수족구병 (0) | 2014.06.04 |
[스크랩] 가만히 앉아만 있어도 땀 `줄줄`…다한증이란? (0) | 2014.06.03 |
[스크랩] 치매 환자 조호 지원 애플리케이션 `동행` (0) | 2014.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