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도서관 많이들 이용하고 계신가요?
다른 도서관에 출입할 때마다 매번 회원증을 만들어야 해야 해서 불편하셨다구요?
이제 전국의 많은 공공도서관들이 ‘통합회원증’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하나의 회원증만 있으면 통합도서서비스에 참여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에 자유롭게 출입하고 도서를 이용할 수 있는 제도예요~
하나의 회원증으로 전국의 공공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는 도서관 통합도서서비스는 지난 2010년부터 시작되었는데요.
부산, 대구, 인천, 광주, 경기, 전남, 전북, 제주도 등 8곳의 지자체 206개 도서관에서 참여하고 있습니다. 아직 서울에는 참여도서관이 한 군데도 없네요.^^;
올해는 참여 도서관을 280개관으로 확대한다고 하는데요. 그렇게 되면 전국 공공도서관 828곳 중 34%가 참여하게 되는 것입니다. 2018년까지 전국 공공도서관 50% 이상을 통합도서서비스에 참여하도록 확산할 예정이라고 해요.
지역별 통합도서서비스 참여 도서관 현황
[2013년 12월 기준, 문화체육관광부]
통합도서서비스, 이렇게 이용하세요
앞서 설명드렸듯 통합도서서비스는 하나의 회원증을 일단 만들면, 참여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을 별도의 회원가입 절차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에요~ 도서관 출입, 이용, 도서 대출 등 서비스를 모두 이용할 수 있구요, 대구, 부산 등 일부 지역에서는 대출한 책을 대출한 도서관이 아닌 다른 참여공공도서관에 반납할 수 있는 서비스도 하고 있다고 해요.
회원증은 통합도서서비스 참여 공공도서관을 방문해 간단히 신분증 확인 등 과정을 거쳐 발급받을 수 있는데요.
신규 회원 통합서비스 가입절차(신분증 지참)
기존 회원 통합서비스 가입절차(기존 회원증 및 신분증 지참 후)
|
전국에 있는 통합도서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참여 도서관 정보와 자세한 발급절차 등은
통합도서서비스 홈페이지(http://book.nl.go.kr)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공공도서관 통합도서서비스 홈페이지
공공도서관을 하나의 도서관 카드로 이용하는 제도는 이미 외국의 많은 곳에서 시행하고 있어요~
스위스의 공공도서관(Public Library of Switzerland)은 약 약 600여개의 대학 및 주립 도서관들을 하나의 도서관 카드로 이용할 수 있는 BIBLIOPASS 회원증을 발급하고 있구요. 미국 워싱턴주의 시애틀 주변 킹 카운티(King County)의 48개 공공도서관들도 하나의 도서관 카드로 이용할 수 있는 킹 카운티 도서관 시스템(KCLS, King Country Library System)을 운영하고 있다고 해요!
스위스의 공공도서관(Public Library of Switzerland) 카드,BIBLIOPASS
미국 킹 카운티 공공도서관(King Country Public Library) 카드
우리나라도 앞으로 더 많은 도서관들이 통합도서서비스에서 참여해서 더 편리하게, 생활 속에서 가까이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마지막으로 또 하나의 도서관 이용 팁 투척합니다.^^
도서관 이용할 때, 원하는 자료가 해당 도서관에 없다면 협약을 맺은 다른 도서관에 신청해 볼 수 있는 ‘책바다 협약’ 이라는 것이 있어요. 통합도서서비스보다 훨씬 많은 전국 634개 도서관이 참여하고 있는데요. 필요한 분들은 이용해봐도 좋을 것 같아요.
☞책바다 협약 도서관 보기
* 본 포스트는 아래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http://www.mcst.go.kr 문화체육관광부 공식홈페이지 >> 보도자료
>> “도서관 회원증 하나로 전국 공공도서관 OK" (2014.2.12)
'교류의 장 > 암,건강도서,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통쾌한 삶의 지혜가 담긴 <그대 속눈썹에 걸린 세상> (0) | 2014.03.02 |
---|---|
‘통증 호소 환자’ 고민 뚝! (0) | 2014.02.27 |
[스크랩] 혹시 막연한 선입견과 동정심을 갖고 있는 건 아닌가요? ‘장애인 동료와 함께 일하기’ 책자 발간 (0) | 2014.02.11 |
[스크랩] [문화]2013 도서관 이용자들이 가장 많이 본 책은? (0) | 2014.01.17 |
중증 폐질환 극복하면 100세의 길이 열린다 (0) | 2014.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