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의 자살을 막아 암세포를 키우는 원인 밝혀내
유전자 조절 단백질의 비정상적 활성화 원인 발견
암세포의 자살을 막음으로써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를 촉진시키는 원인이
미래창조과학부는 10일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허강민 교수가 주도하고,
암세포는 세포 사멸을 억제하는 유전자를 활성화시켜 세포가
연구팀은 암세포에서 NF-κB가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되는 원인으로
실제로 연구팀은 뇌암이 진행될수록 PHF20은 많이 만들어지고
허강민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암세포 성장 생리를 이해하고
유전자 조절 단백질 간의 상호작용임이 밝혀졌다.
이러한 상호작용을 조절하는 물질을 찾으면 암세포가 자살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의
항암제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0일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허강민 교수가 주도하고,
장태준 박사과정 연구원, 김진만, 박종선 교수가 참여한 연구에서
세포가 암세포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PHF20가 유전자 조절 단백질의
활성화 원인임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암세포는 세포 사멸을 억제하는 유전자를 활성화시켜 세포가
죽지 않게 하는 유전자 조절 단백질인 NF-κB가 비정상적으로 많이 존재함이 알려져 있다.
이 단백질에 세포 내의 신호 전달에서 스위치 역할을 하는
‘인산기’가 붙으면 세포사멸 유전자를 활성화시키고 떨어지면 작동을 멈추는데
이처럼 활성화와 비활성화를 반복하면서 세포 성장과 사멸이 적정 수준으로 조절된다.
연구팀은 암세포에서 NF-κB가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되는 원인으로
단백질 PHF20이 NF-κB와 결합해 NF-κB에 붙어 있는 인산기를 떼어내는 역할을 하는
탈인산화효소(PP2A)가 NF-κB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막기 때문임을 알아냈다.
실제로 연구팀은 뇌암이 진행될수록 PHF20은 많이 만들어지고
인산기가 붙어서 활성화된 NF-κB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뇌암 진행정도에 따른 생물학적 표지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했다.
허강민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암세포 성장 생리를 이해하고
향후 이를 이용한 암세포에서 특이적인 신호전달을 조절하는
방식의 항암제 개발에 대한 근거를 제시한 것”이라고 연구의 의의를 말했다.
출처..메디컬투데이
출처 : 암과 싸우는 사람들
글쓴이 : 산유화2 원글보기
메모 :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 > 암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4기암과 말기암 환자의 골든 타임 (0) | 2013.08.07 |
---|---|
[스크랩] 암 건강강좌 & 암을 이기는 식단 실습, 선착순 모집 (0) | 2013.08.01 |
[스크랩] `말기암` 환자에게 숨기는 게 능사 아니다 (0) | 2013.07.28 |
[스크랩] 암 환자 50% 치료 후 10년 이상 생존가능 (0) | 2013.07.22 |
[스크랩] 암 성장 속도 늦추기 (0) | 2013.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