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의 성장 속도를 늦추기 위해서는 어찌해야할까요?
왜 고기를 많이 먹지 말라고 하는 것일까요?
왜 탄수화물을 많이 먹지 말라고 하는 것일까요?
1. 성장이라는 것이 무엇일까요?...암덩어리가 커진다는 것은 무엇일까요?
2. 암덩어리가 커진다는 것은 세포가 분열하여 숫자가 불어난다는 것입니다..
3. 세포가 분열하기 위해서는 영양분이 필요합니다...특히 단백질이 많이 필요합니다...
4. 세포가 분열하기 위해서는 DNA를 복제해야 하는데 이때 단백질이 없으면 복제할 수 없습니다...
5. 암덩어리가 단백질이 없으면 분열할 수 없는 것입니다...
6. 정상세포는 자기 조절 능력이 있어서 인체가 밥을 적게 먹으면, 적게 먹는대로 그 상황에 적응하여 살아갑니다..
7. 하지만 암세포는 자기 조절 능력이 상실된 상태이므로, 마구 분열하려고만 합니다...
8. 이 때 단백질 양이 풍부하게 공급되지 못하게 되면, 암세포의 세력은 약해지게 됩니다...
9. 이러한 때에 강력한 항암성분이 몸에 투여된다면 정상세포는 크게 다치지 않는 반면, 암세포는 상당한 타격을 입게 됩니다..
10. 또한 암은 인체 노화의 산물입니다..왕성하게 분열하면 할수록 노화가 빨리 진행되는 것입니다..
11. 서양 사람들이 동양 사람들보다 같은 나이에 더 성숙해 보입니다...그만큼 빨리 성장하고 노화가 빨리 진행된다는 것입니다.
12. 노화가 빨리 진행되면 암이 빨리 찾아오게 됩니다..
13. 최대한 노화를 늦추어야 합니다....노화가 빨리 진행된다는 것은 세포 분열이 왕성하다는 것이고, 세포 분열이 왕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영양분이 풍족하게 공급된다는 의미입니다...나이들어 식사량을 줄여야 하는 당위성이 여기에 있는
것입니다...소식이 장수한다는 이야기가 성립되는 것입니다..
14. 식사량이 많다는 것은 소화과정에서 많은양의 활성산소가 발생된다는 의미이고 활성산소가 많으면, 세포 노화가 촉진되는
것입니다...탄수화물을 많이 섭취하면 할수록, 활성산소 발생량은 늘어나고, 노화가 빨리 진행되며, 결국 암의 발병 시기를
앞당기게 되는 것입니다....
15. 암을 치료하기 위해서도, 같은 원리가 적용됩니다...
16. 암이나 당뇨병, 각종 성인병도 인체 노화의 산물입니다...
17. 암도 인체가 노화하여 발생한다는 것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18. 당뇨병이 무엇입니까? 인슐린 기능에 문제가 생겨 혈당이 완벽하게 콘트롤 되지 않는 병입니다..
19. 암에 당뇨병 치료제가 효과적이라는 연구 논문이 있습니다...
20. 인슐린이 완벽하게 통제되면 암이 발병하지 않고 치료된다는 것이지요...
21. 인슐린이 완벽하게 통제 되지 않는다는 것은 무엇입니까..?
22. 인체가 노화되었다는 방증입니다..기계가 낡은 것입니다...인슐린이 완벽히 통제되지 않게되면 급격한 노화가 오게 됩니다.
23. 이처럼 인체 노화와 암은 한 몸뚱아리 입니다...
24. 신선한 채소를 많이 먹으라고 하는 이유가 어디 있겠습니까..?...결국은 노화 방지입니다...
25. 비타민-C 같은 항산화제를 풍부하게 몸속에 투여하게 되면 활성산소를 제압하게 되고, 노화가 지연되게 됩니다...
26. 암세포를 하나도 남김없이 모조리 살상한다는 것은 불가능입니다..
27. 암세포가 서식하지 못하는 몸상태를 만드는 것이 지름길입니다...
28. 암세포의 증식 속도를 저지하는데 총력을 기울이시기 바랍니다...
29. 암세포가 필요로 하는 것을 공급하지 마십시오,...
30. 필수 영양소는 들어있으면서, 칼로리는 높지 않은 방식으로 식사를 하시면 좋을 것입니다...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 > 암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말기암` 환자에게 숨기는 게 능사 아니다 (0) | 2013.07.28 |
---|---|
[스크랩] 암 환자 50% 치료 후 10년 이상 생존가능 (0) | 2013.07.22 |
[스크랩] 암환자와 가족에게 권하는 7가지 수칙 : 암을 진단받았을 때 (0) | 2013.07.03 |
[스크랩] 암환자와 가족에게 권하는 7가지 수칙 : 암 치료가 시작될 때 (0) | 2013.07.03 |
[스크랩] 형광물질로 색 구분, 암세포만 정확히 제거한다 (0) | 2013.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