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진단을 받은 순간부터 환자와 환자 가족은 길고 긴 싸움을 시작하게 됩니다.
감기나 두통처럼 짧은 시간에 치료되는 것이 아닌만큼 강한 의지와 인내심이 요구됩니다.
암 선고를 받았을 때, 환자와 가족들은 어떤 마음가짐과 태도로 힘든 상황을 받아들여야 할까요..?
※ 본 글은 대한암협회에서 암환자와 가족에게 권하는 14가지 수칙 중
'암을 진단 받았을 때' 알아야 할 7가지입니다.
'치료를 시작할 때' 알아야 할 7가지를 보시고 싶으시다면 -> 암 치료가 시작될 때
01. 암 진단이 죽음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안타깝게도 아직까지 대부분의 사람들은 암을 사형선고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예전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암을
진단받고 있지만, 많은 환자가 치료를 통해 암을 이겨내고 있습니다.
암을 치료하는 새로운 방법들도 계속 개발되고 있습니다. 현대의학에서 암은 난치병이긴 하지만, 더 이상 불치병이 아닙니다.
암 진단 후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절망이 아닌 희망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말기 암 환자라도 100% 사망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아무리 비관적인 경우라도 살아 남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것은 매우 중요한 희망의 증거입니다.
내가 생존하는 사람들 속에 포함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각오를 다지세요!
02. 암은 전염되지 않습니다.
암은 수두나 독감과는 달리 전염되지 않습니다.
즉, 암 환자가 이용하는 물잔을 함께 이용한다고 해서 암이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암이 전염되지 않는다라는 사실을 안다고 할지라도, 가족 중 누군가 암을 앓게 된다면 나 역시 암에 걸릴 것이라고
생각하고 걱정하게 될 수 있습니다. 이때는 걱정하는 대신, 이러한 불안감에 대해 의료진에게 이야기하세요.
의료진들은 암이 가족 사이에 전염되는 일이 없다는 사실에 대해 설명해 줄 것이며,
나 또한 내가 느끼는 두려움에 대해 솔직하게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03. 암 진단 직후 환자가 겪는 심리를 이해하세요.
암을 진단받으면 대부분의 환자는 다음과 같은 심리상태를 차례로 겪게 됩니다.
1) 부정 : 의사의 진단이 잘못됐을 것이라 생각하여 이 병원 저 병원을 찾아 다닌다.
2) 분노 : "왜 하필 나에게 이런 병이 생겼느냐"고 생각을 하게 된다.
3) 타협 : "내 자식이 결혼할 때까지만..." 하고 제한적이나마 수용하게 된다.
4) 우울 : 슬픔과 침묵에 젖어 아무하고도 말을 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5) 수용 : 상황을 받아들이고 치료를 시작하게 된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상황을 받아들인 후에야 진정한 치료가 시작된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이 다섯 단계의 과정을 겪는 시간이 짧으면 짧을수록, 치료를 빨리 시작할 수 있고, 예후 또한 좋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가족은 환자의 심리를 충분히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하며 적극적으로 도와주어야 합니다.
04. 나의 행동이 가족을 암에 걸리게 한 것은 아닙니다.
가족 중 누군가 암 진단을 받게 되면, 사람들은 예전에 잘못했던 여러 가지 일들을 떠올리며 자신의 잘못으로 인해 가족이
암에 걸린 것이 아닌가 하는 죄책감을 갖게 됩니다.
그러나 나의 행동으로 인해 우리 가족이 암에 걸리지는 않습니다. 또한 가족이 암에 걸리는 것을 내가 막을 수도 없습니다.
스스로를 책망하는 태도는 환자에게나, 환자를 돌보아야 할 가족에게나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죄책감을 느끼지 말고 환자의 가장 강력한 후원자가 되어주세요!
05. 중요한 질문은 담당 의료진에게 하세요.
처음 암 진단을 받았을 때 나와 가족이 느끼는 혼란과 궁금증에 대해 가장 많은 답을 알고 있는 사람은 담당 의료진입니다.
암의 상태, 치료방침 및 전망 등에 대한 질문에는 담당 의료진만이 정확히 답할 수 있습니다.
환자가 의료진을 신뢰하지 못하면 좋은 치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질문을 통해 의사교환을 충분히 하는 것은 의료진과 신뢰를 쌓는 첫 걸음입니다.
06. 올바른 암의 지식을 갖도록 노력하세요.
암에 대해 자세히 알고 있다가 암 진단을 받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암에 대해 열심히 공부하세요!
암의 정체와 치료법에 대해 정확히 알면 나와 가족이 느끼는 두려움은 훨씬 가벼워질 수 있습니다.
또 잘못된 정보에도 쉽게 현혹되지 않습니다. 암에 대한 기사나 책을 읽을 때는 반드시 가장 최신 내용을 선택하세요.
암 치료법은 매우 빠르게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몇 해 전의 내용들은 이미 과거의 것일 수 있습니다.
또한 인터넷 등의 발달로 정보의 홍수 속에 암에 관한 여러 가지 정보들이 있으나 많은 경우 과학적으로 증명되지 않거나
상업적 목적으로 잘못된 정보들도 섞여 있어 환자와 가족들이 신체적 경제적 손실을 입게 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우선 외과적, 내과적 방법 등 교과서적인 암 치료방법을 알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많은 환자들은 수술이 불가능하다는 말을 들으면 어찌할 바를 몰라 합니다. 하지만 이런 말을 듣더라도 절~대 절망하지 마세요!
수술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치료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항암화학요법 또한 방사선요법을 결정하기 전에 의료진과 치료 효과에 대하여 충분히 논의하세요.
07. 가족 가운데 선장을 정하세요.
암과 싸우는 여정은 크고 작은 망설임들의 연속입니다.그때마다 환자와 가족은 중요한 선택을 해야 합니다.
우선 가족 중에 선장을 정하세요. 암을 진단 받으면 주변에서 엄청난 정보가 쏟아지고, 온갖 사람들이 몰려들어 훈수를 둘 것입니다.
투병기간 또한 짧지 않습니다. 이럴 때 엄정하고 현명한 판단을 내리며 방향을 잡아갈 선장이 필요합니다.
중요한 결정을 하기 전에는 충분한 시간을 갖고 깊이 고민하세요. 주변에서 아무리 결정을 재촉한다 해도 서두르지 마세요.
그러나 긴 여정의 선장이 따로 있다고 해도 건강과 관련해서 가장 중요한 사람은 바로 나 자신임을 잊지 마세요.
암에 걸린 사람은 바로 내 자신이며 건강을 되찾기 위해 노력해야 할 사람도 내 자신입니다.
[출처] 암환자와 가족에게 권하는 7가지 수칙 : 암을 진단받았을 때 |작성자 동남권원자력의학원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 > 암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암 환자 50% 치료 후 10년 이상 생존가능 (0) | 2013.07.22 |
---|---|
[스크랩] 암 성장 속도 늦추기 (0) | 2013.07.19 |
[스크랩] 암환자와 가족에게 권하는 7가지 수칙 : 암 치료가 시작될 때 (0) | 2013.07.03 |
[스크랩] 형광물질로 색 구분, 암세포만 정확히 제거한다 (0) | 2013.07.03 |
{스크랩}암 환자는 담당의사의 ‘생생 조언’을 원한다 (0) | 2013.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