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조선일보 DB
자신을 꾸미는 것에 인색했던 과거와 달리 요즘 중·장년은 화장품을 챙겨 바르고 피부과에 들르는 등 적극적으로 외모를 가꾼다. 물론 가는 세월을 막을 순 없지만 속도는 늦출 수 있다. 나이 들수록 어둡고 칙칙해지는 얼굴 빛을 환하게 되돌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스팀타월 사용하기
스팀타월을 하면 피부색이 환해진다. 방법은 간단하다. 물에 흥건히 적신 수건을 전자레인지에 1~2분 돌려 따뜻하게 만든 다음 얼굴에 올린다. 스팀타월은 1주일에 2~3회 하는 것이 좋다. 스팀타월을 하면 모세혈관이 확장되어 칙칙한 피부톤의 원인인 혈액순환에 도움이 되고 각질을 불려 피부 노폐물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활력 없고 건조한 피부에 수분이 채워져 생기가 돈다.
◇쌀뜨물 세안
쌀뜨물로 세안하면 쌀의 각종 영양분이 고스란히 얼굴 피부에 전달되어 묵은 각질과 노폐물을 제거해 환한 피부를 만들 수 있다. 쌀과 쌀겨에는 필수아미노산과 지방질, 무기질, 비타민 A·B 등이 풍부하다. 또 얼굴에 잡티가 생기는 피부 트러블을 막아 주는 효과도 있다. 쌀가루를 물과 섞어 팩을 하면 피부에 탄력이 생기고 얼굴이 하얘진다.
◇평소 철저한 자외선 차단
외출할 때는 반드시 자외선차단제를 바른다. 자외선에 노출되어 검게 그을린 피부는 각질화되어 떨어져 나가고, 피부는 원상태로 돌아온다. 하지만 노화가 시작되었거나 피로와 스트레스등으로 신진대사가 둔화된 피부는 그을린 상태가 오래 간다. 따라서 외출하기 30분 전에는 자외선차단제를 바른다. 자외선차단제에 표기하는 SPF(Sun Protection Factor)는 자외선차단 지수로, SPF 10은 12분 동안 자외선에 노출될 수 있는 피부를 차단제로 120분 동안 보호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일상생활에서는 최소 SPF 15~30, 해변이나 등산 등 야외 활동 시에는 SPF 30~50을 바른다. 자외선차단제는 500원 동전 크기만큼 짜서 얼굴에 듬뿍 발라야 효과가 있다.
/ 이나현 헬스조선 인턴기자
'일반 건강상식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찬 음식 먹고 배탈?…여름 배탈 막는 5가지 방법 (0) | 2013.07.02 |
---|---|
[스크랩] 물집은 터뜨려야 하나? 말아야 하나? (0) | 2013.06.30 |
[스크랩] 건강염려증보다 위험한 `괜찮다증후군` (0) | 2013.06.28 |
[스크랩] 12개월부터 시작하는 일본뇌염 예방접종에 대해 알아볼까요? (0) | 2013.06.28 |
스마트폰 주치의 '엠하이닥' 인기 (0) | 2013.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