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러스트 조영주
01 ‘나는 건강하다’ 자부하는 50대 10명 중 6명은 환자
자신의 건강에 예민하고 과민하게 반응해 일상생 활이 어려운 ‘건강염려증’ 증상이 있는 사람이 많다. 그런데, 이와 반대로 몸이 아파도, 이상 증상이 느껴져도 방치하면서 ‘괜찮을 거야, 나는 건강 해’라고 자기암시를 하며 넘어가는 ‘괜찮다증후군’도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112만명을 대상으로 한 최근 조사 결과를 보면 ‘나는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사람 10명 중 6명 이상이 실제로는 하나 이상의 질병을 갖고 있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자신이 생각하는 것처럼 실제로도 건강하다는 판정을 받은 사람이 30대는 66.7%, 40대는 56%, 50 대는 46.8%였다. 정훈 과장은 “지금 50~60대들은 조금 아픈 것쯤은 참으면서 이겨내는 것이 미덕인 시대 분위기 속에서 자라온 탓이다”라고 분석했다. 하태현 교수는 “이들은 정말 건강을 자신하기보다는 ‘검사했는데 정말 심각한 병이 나오면 어떻게 하나’라는 두려움을 갖고 현실을 외면 하는 경우가 많다”며 “자신의 건강 현주소를 직시하는 것이 ‘괜찮다증후군’에서 벗어날 수 있는 처음이자 가장 중요한 단계다”라고 말했다.
02 나도 혹시 ‘괜찮다증후군’일까?
나도 ‘괜찮다증후군’은 아닌지 확인해 보자. 자신의 생활과 환경을 하나씩 체크해 보면 건강 현주 소를 깨달을 수 있다. 이윤환 교수는 “스스로 건강하다고 생각하던 사람도 자신이 실제로 먹고 있는 진통제의 양, 신체 변화 등을 직접 확인하면 외면하고 있던 현실을 깨닫고 건강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 된다”며 “괜찮다증후군을 체크하는 핵심은 기록해서 이를 눈으로 직접 확인하는 것” 이라고 말했다
Check Point 1 복용한 진통제 빈병을 모아 보자
괜찮다증후군에 빠져 있는 사람의 특징은 진통제를 달고 사는 것이다. 판피린, 게보린, 판콜에스 등과 같은 진통제류를 매일 먹으면서도 자신이 진통제의 힘으로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은 잊는다. 먹고 난 약병이나 약통 등을 버리지 말고 따로 모으는 습관을 가져 보자. 그 양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면, 자신이 얼마나 진통제에 의존하고 있는지를 알게 된다.
Check Point 2 월별 체중 변화를 그래프로 그리자
괜찮다증후군을 확인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주요 지표는 체중이다. 특별히 다이어트를 하지 않는데, 반대로 특별히 많이 먹지 않는데 체중 변화가 생기는 것은 당뇨병, 간 손상 같은 질병에 걸렸을 수 있다는 적신호다. 체중계 앞쪽 벽에 종이 그래프를 붙여 놓고 매일 체중을 잰 후 점을 찍어 기록하자. 한 달 내에 가파르게 체중 변화 곡선이 그려지면 자신은 괜찮은 것 같아도 건강에 심각한 이상이 생겼을 수 있다. 그냥 체중만 재면 절대 인지하지 못한다. 반드시 그래프를 그려서 눈으로 확인하자.
Check Point 3 만보계를 차자
만보계를 적극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걷는 양은 몸 상태에 큰 영향을 받으므로 만보계로 매일 체크하자. 어느 순간부터 걷는 양이 줄어들어 다시 회복될 기미가 없다면, 평소처럼 걷는 것이 벅차다면 건강의 적신호로 받아들여야 한다. 매일 같은 거리와 코스를 걷는데 갑자기 보행 수가 늘어나는 것은 보폭이 좁아지고 걸음이 빨라졌다는 신호다. 이는 뇌 기능이나 신경계통에 문제가 생긴 것일 수 있으므로 점검이 필요하다.
Check Point 4 배변일지를 쓰자
정장제를 매일 먹고, 변비약을 주기적으로 먹고, 장에 좋다는 유산균 건강음료 등을 아침저녁 챙겨 먹으면서도 ‘나는 변비도 없고, 대장이 건강하다’고 말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약이나 건강식품에 의존해야만 배변할 수 있는 것 역시 변비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도움 없이 매일의 배변 상태와 횟수를 체크하자. 언제 배변했는지, 어떤 상태에서 배변했는지, 통증은 없는지 등을 상세히 기록하자. 1~2주 이상 배변을 못하거나 피가 나오거나, 복부 팽만감이 심하고 식욕이 없다면 병원에 가야 한다.
도움말 정훈(서울시북부병원 내과 과장), 하태현(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이윤환(아주대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
'일반 건강상식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물집은 터뜨려야 하나? 말아야 하나? (0) | 2013.06.30 |
---|---|
[스크랩] 나이 들수록 어두워지는 얼굴빛을 되돌리자! (0) | 2013.06.28 |
[스크랩] 12개월부터 시작하는 일본뇌염 예방접종에 대해 알아볼까요? (0) | 2013.06.28 |
스마트폰 주치의 '엠하이닥' 인기 (0) | 2013.06.28 |
[스크랩] 발뒤꿈치 각질, 제대로 제거하고 계시나요? (0) | 2013.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