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에 100조가량의 무언가가 있다면 어떨까. 100개도, 100만개도 아닌 100조다. 당연히 손끝에서 발끝까지, 입속부터 뱃속까지 신체
구석구석 가득할 수밖에 없다. 온몸을 뒤덮고 있는 ’이것’의 정체는 무엇일까? 정답은 바로 세균이다.
한 사람 몸에 있는 세균을
모두 더한 무게는 약 1.5㎏. 이는 간(肝)의 무게와도 비슷하다. 그중에서도 세균이 가장 많이 모인 곳이 있다. 바로 장(腸)이다. 장에 있는
세균은 크게 몸에 이로운 역할을 하는 유익균과 그렇지 않은 유해균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이 유산균이다.
유산균 역시 유익균으로 사람의 건강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그러나 현대인의 장에는 상대적으로 유익균의 수가 적다. 과도한
항생제 사용으로 인해 유익균까지 죽어버린 것.
방부제가 든 가공식품이나 정제된 당분이 많은 탄산음료 역시 유익균 수가 줄어든
원인이다.
민영일 비에비스 나무병원 원장은 "장 내부의 세균 균형이 무너지면 면역질환에 노출되기 쉽다. 장이 건강하지 않으면 나쁜
균을 제대로 걸러낼 수 없다. 현대인에게 알레르기 비염 등의 면역질환이 늘어나는 현상은 장내 세균 균형과도 관련이 있다"고
설명한다.
의학계에서는 장내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ㆍ유산균이나 유익균 등 건강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모든 생균) 보충으로
건강을 증진시키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유해균을 죽이는 항생제와는 반대 개념으로 유익균 수를 증가시켜
유해균 세력을 자연스럽게 죽이는 능력이 각광받고 있다.
이쯤 되면 "유익균은 단순히 변비에 좋은 거 아니었어?"라고 묻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 사실 유익균 역할은 장 건강 외에도 다양하다.
먼저 유익균은 유해균의 침입을 방어한다. 장에는 영양분의 소화 및
흡수가 원활하도록 수많은 주름이 자리한다. 울퉁불퉁한 주름은 영양분 외에 세균이 살기 좋은 환경이기도 한데, 장내 유익균이 이 주름에 먼저
자리를 잡게 되면 상대적으로 유해균이 달라붙을 장소가 적어진다.
장벽(腸壁)의 상피세포층을 강화하는 역할도 한다.
장
전체는 종잇장보다 얇은 층의 상피세포로 덮여 있다. 상피세포층이 손상되면 균이나 유해물질이 인체로 쉽게 침입할 가능성이 높아지는데, 장내
유익균은 상피세포층을 튼튼하게 만들어 세균 침입의 위험을 줄여준다.
소화작용과도 관련이 있다. 유익균은 위에서 다 분해되지 못한
음식물을 흡수하기 위해 효소를 분비하여 소화를 돕는다. 또한 분해하기 힘든 섬유질과 다당류를 발효시키는 역할도 한다.
면역조절 기능
또한 최근 각광받고 있는 역할이다. 면역세포의 80%는 장에 위치한다.
그중에서도 장벽 내부의 림프조직에 위치한다. 면역세포는
장의 환경상태를 통해 자신의 역할을 습득하는데, 이때 장내 유익균은 면역세포가 과민한 면역반응을 일으키지 않도록 돕는다.
때문에
최근에는 이를 이용하여 알레르기나 아토피 피부염 등 다양한 면역 관련 질환을 극복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프로바이오틱스
효능이 조명되고 있는 가운데 업체들은 유산균 제품에 대한 경쟁을 치열하게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기능성 발효유는 손쉽게 유산균을 섭취할 수
있으며 독특한 풍미가 있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최근 깨끗한 아기의 장에서 선별한 7가지 프로바이오틱스를 1000억마리 이상
함유한 ’7even(세븐)’을 출시해 주목받고 있는 한국야쿠르트의 안영태 한국야쿠르트 중앙연구소 박사는 "무균상태인 양수에 둘러싸여 있는 태아는
많은 유산균을 가지고 태어난다. 하지만 성장하는 과정에서 나쁜 외부환경에 의해 유익균은 잃고 유해균의 침입을 받게 된다"며 "잠재력이 뛰어난
슈퍼 박테리아인 유산균 섭취는 현대인의 건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매경헬스 = 김수진 기자]
'일반 건강상식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코골이.. 그 밤의 지옥 같은 불청객 (0) | 2013.05.23 |
---|---|
궁금한 증상 손안서 해결하세요 (0) | 2013.05.22 |
[스크랩] 자외선과 건강 (0) | 2013.05.22 |
[스크랩] 탄산음료 마시고 기껏 양치했는데, ‘헉’ (0) | 2013.05.22 |
[스크랩] 신비로운 뇌, 오랫동안 제기능 유지하려면? (0) | 2013.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