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력이 있는 위암 환자가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예후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암센터 위암센터 최일주 박사 연구팀은 2001년부터 2005년까지 암센터에서 위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1273명을 대상으로 수술 후 예후를 관찰한 결과, 위암 직계 가족력이 있는 환자에서 가족력이 없는 환자에 비해 위암 재발 및 사망 확률이 5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특히 병기 3~4기의 진행된 위암에서 발생 및 사망률 감소가 뚜렷했으며, 직계 가족력이 있는 경우 5년 생존율이 60.8%로 나타나 가족력이 없는 환자의 37.7%보다 월등히 높았다.
연구의 책임저자인 최일주 센터장은 “위암가족력은 위암 발생위험을 2~3배 증가시키는 위험인자이지만, 예후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는 없었다”며 “위암환자의 직계가족에서 발생하는 위암은 크기가 작고, 조직학적인 분화도가 좋은 특징이 있었고, 흡연자의 비율이 낮았던 것이 예후에 좋은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논문은 암 관련 학술지인 ‘저널 오브 크리니컬 온콜로지(Journal of Clinical oncology)’ 3월호에 게재됐다.
문애경 매경헬스 기자 [moon902@mkhealth.co.kr]
http://news.mk.co.kr
'종류별 암 > 위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 최신치료_진행성 위암, 수술+항암제로 생존율 높여 (0) | 2012.04.20 |
---|---|
75세 이상 위암 조기 발견후 복강경 수술 결과 좋아 (0) | 2012.04.04 |
위암 억제하는 유전자 발견 (0) | 2012.02.17 |
[스크랩]속쓰리면 무조건 위산과다? 그 반대인 경우도 많다 (0) | 2012.02.02 |
‘담적 위장질환 외 전신에도 악영향’ (0) | 2012.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