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 후의 부작용·합병증 http://www.cancer.go.kr/ncic/cics_b/04/042/1327652_5882.html#1
걷거나 움직이는 것은 수술 당일 또는 다음 날부터 가능합니다. 일반적인 개흉술 (가슴을 절개하고 하는 수술 )의 경우 약 10여일 정도, 흉강경수술의 경우 4-7일 정도의 입원치료 후 퇴원 하시게 되며 퇴원 당시에는 대부분의 환자 분들이 진통제를 필요로 하지만 퇴원하고 2주쯤 후에 외래를 방문하여서는 진통제의 양을 많이 줄일 수 있을 정도가 됩니다. 직장에서 일을 하거나 사회활동을 위해서는 개흉술의 경우 보통 4-6주 정도의 안정기간이 필요하고 , 흉강경수술의 경우에는 이보다 훨씬 빨리 사회생활로의 복귀가 가능하지만 통증 등의 문제에서는 개인차가 큽니다.
수술 후 회복이 끝나면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겠지만 일상생활을 영위하시는 데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통증은 개인 차이가 매우 심합니다. 어떤 분들은 퇴원 후 첫 외래에서 벌써 진통제를 거의 끊을 수 있는 경우도 있는 반면, 어떤 경우에는 수술 후 2달이 지나서도 통증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개인적인 차이가 심하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개흉술 (가슴을 절개하고 하는 수술 )의 경우 4-6주 정도 진통제를 복용해야 하는 통증이 있을 수 있고 흉강경수술의 경우 2-4주 정도의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끔 결리는 느낌이나 불편감은 1년 이상 지속되기도 합니다.
그 외 합병증으로는 상처부위감염, 혈흉, 기흉, 무기폐, 폐렴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방사선 치료의 부작용·합병증 http://www.cancer.go.kr/ncic/cics_b/04/042/1327652_5882.html#2
방사선 치료의 부작용에는 크게 전신반응, 급성 부작용, 그리고 만성 부작용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먼저 전신반응은 방사선 치료를 시작한지 며칠 되지 않았는데도 식욕감퇴, 구역, 전신 피로감 등을 호소하는 경우를 이야기하는 것으로써, 방사선 치료의 범위가 넓은 경우이거나 항암화학요법을 동시에 시행하는 경우에 자주 나타납니다. 이는 대개 일시적인 증상으로 충분히 쉬고 영양섭취를 잘 하면 회복되며, 회복된 이후에는 증상이 재발하지 않는 것이 보통입니다.
둘째로 급성 부작용은 방사선 치료 중 혹은 치료 직후(대개 한달 이내)에 나타나는 부작용을 이야기 합니다. 방사선 치료 부위에 따라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폐암의 경우에는 가슴 중앙의 식도가 방사선을 조사받아서 나타나는 식도염이 대표적인 급성 부작용입니다. 대개 방사선 치료 시작 후에는 별다른 급성 부작용이 없다가 2~4주 정도가 지나면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러한 증상을 호전시키기 위하여 치료 중 진통제, 위장약 등을 투약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치료가 끝나면 급격히 호전되기 시작해서 대개 한달 이내에 증상은 거의 호전됩니다.
셋째로 만성 부작용은 방사선 치료가 끝난 후 약 3~6개월 뒤에 나타나는 부작용으로 방사선 폐렴이 가장 흔하며, 치료 종료 후 약 3~4개월째 최대로 나타나서 6개월이 지나면 섬유화의 형태로 안정되면서 줄어들게 됩니다. 치료 범위가 넓지 않은 경우에는 대개 폐 손상이 단순흉부촬영 사진이나 전산화단층촬영(흉부 CT) 상에는 폐렴의 형태로 보여도 기침 등의 증상은 그다지 없는 경우가 흔합니다. 대개 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나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약물 투여를 하기도 합니다.
▶항암화학요법의 부작용 http://www.cancer.go.kr/ncic/cics_b/04/042/1327652_5882.html#3
항암화학요법의 부작용은 사용한 약물의 종류와 투여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흔한 부작용으로는 구역질, 구토 , 식욕감소, 탈모, 설사, 구강 상처 등이 있습니다. 또한 항암화학요법은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을 생성하는 골수세포를 억제합니다. 따라서 가벼운 출혈, 쉽게 멍드는 증상, 피로감, 쉽게 숨이 차는 증상이 생길 수 있고 , 면역력이 떨어지면 세균감염에 의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부작용은 치료를 멈추거나 일정 기간이 지나면 사라지게 됩니다. 이 중에서 가장 의학적으로도 중요하며, 치료하지 않을 경우 위험해질 수 있는 부작용이 항암제로 인한 골수억제입니다. 다시 말해 항암제치료 후 백혈구가 감소한 상태에서 열이 나는 경우가 있는 데, 이럴 때는 즉시 병원으로 와야 합니다. 즉 백혈구가 감소해 있는 면역억제상태에서 열이 난다는 것은 몸 어딘가에 감염에 의한 염증이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이럴 때는 바로 항생제치료를 해야 하며 대개는 입원치료가 필요합니다. 항생제치료가 늦어질 경우 잘못하면 패혈증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하는 부작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백혈구 감소 시기는 대개 항암화학요법 후 7일-14일 사이입니다. 따라서 외래에서 항암화학요법을 하는 경우 이 시기에 열이 나는지 잘 관찰해야 합니다.
폐선암 : 재발 및 전이 http://www.cancer.go.kr/ncic/cics_b/04/043/1434708_5883.html
▶폐암의 재발 http://www.cancer.go.kr/ncic/cics_b/04/043/1434708_5883.html#1 |
대부분의 사망이 병의 재발이나 전이와 관련이 있다고 보면 됩니다. 폐암의 재발은 비교적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재발하는 경우 1) 수술한 부위에만 국소적으로 재발하는 경우, 2) 수술한 부위와 주변 림프절에 재발한 경우 3) 다른 장기로 다발성 전이가 된 경우 4) 국소재발 없이 뇌, 부신 등의 한 가지 장기에만 전이되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각각의 치료에 대해 알아보면 >>수술한 부위에만 국소적으로 재발하는 경우
폐기능이 좋을 경우 재수술을 할 수 있으며, 수술이 여의치 않을 경우 방사선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수술한 부위와 주변 림프절에 재발한 경우 재수술이 가능하다면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을 할 수 있으며, 아니면 수술이 힘들 경우 동시항암방사선치료를 해 볼 수 있습니다.
>>다른 장기로 다발성 전이가 된 경우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는 할 수 없고, 항암화학요법을 해야 합니다.
>>국소재발 없이 뇌, 부신 등의 한 가지 장기에만 전이된 경우 만약 뇌에만 전이가 된 경우 증상이 있고 수술적 치료가 가능하면 수술을 시행하고 전뇌방사선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부신에만 전이된 경우에도 부신절제술을 시행 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해 볼 수 있습니다. |
▶폐암환자의 치료 후 추적관찰 http://www.cancer.go.kr/ncic/cics_b/04/043/1434708_5883.html#2 |
>>수술 후 추적관찰 수술 후 초기에는 3개월마다 추적관찰을 통해 환자의 상태 및 병의 재발여부를 관찰합니다. 보통 단순흉부촬영, 전산화단층촬영(흉부 CT)를 시행하면서 경과를 보는 데, 만약 이전에 없던 증상이 나타나면 담당의사에게 자세히 알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술 후에는 조금만 움직여도 숨이 찰 수가 있습니다. 평소에 폐 기능이 나쁘거나 절제 범위가 커서 수술 후 폐 기능이 충분치 않은 경우 숨이 찰 수 있지만 수술을 하는 경우에는 수술 후 남게 되는 폐 기능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만 수술을 하므로 대개 수술 후 숨이 찬 원인은 통증과 연관되어 나타나며 시간이 지나 통증이 좋아지면 차차 좋아지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아프진 않고 숨만 차다고 느끼는 경우도 있지만 이런 경우에도 진통제를 복용하면 증상이 좋아 지는 경우가 많으며 가끔 생기고 짧은 시간만 지속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지 않고 계속해서 숨이 차거나 숨이 차는 정도가 점점 심해진다든지 고열을 동반하는 경우 또는 가래의 색이 변하거나 피가 묻어 나오는 경우 폐 합병증이나 다른 질환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병원을 방문 하시는 게 좋습니다
폐선암 : 치료현황 http://www.cancer.go.kr/ncic/cics_b/04/044/1254243_5884.html
보건복지부와 국립암센터가 함께하는 국가암정보센터 입니다. |
'종류별 암 > 폐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의대-마크로젠, 새로운 폐암 원인 유전자 세계 최초 규명 (0) | 2011.12.27 |
---|---|
[스크랩]폐암, 호흡으로 알아낸다 (0) | 2011.12.22 |
[스크랩] 폐선암의 진단방법 및 진행단계 (0) | 2011.12.16 |
[스크랩] 폐선암의 일반적증상 (0) | 2011.12.14 |
[스크랩] 폐선암의 예방법 및 조기검진 (0) | 2011.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