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류의 장/게시판

[스크랩] 금융정보 탈취수법 및 대응요령을 알아보자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1. 11. 15.

 

 

Ⅰ. SMS 문자나 이메일 이용 금융정보 탈취시도

 

최근 은행을 사칭하고 특정사이트 방문을 유도하는 SMS 문자메시지나 이메일이 

증가하고 있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에 금감원에서도 이 같은 금융정보 탈취에 대해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는데요,

어떤 수법으로 교묘하게 금융 정보를 탈취하는 지 알아보겠습니다.

 

'~은행입니다. 대형포털사이트 개인정보 유출로 보안승급 후 이용해주세요 card-oo.net'

라는 메시지가 불특정 다수의 휴대폰에 전송됩니다.

 

메시지에 포함된 주소(card-oo.net)에 접속하면 

'해당 은행 인터넷뱅킹 보안서비스'라는 사이트가 열리고

'보안승급 바로가기'버튼의 클릭을 유도합니다.

 

Ⅱ. 금융정보 탈취 수법

 

위에서 보여주었던 것과 같이 금융정보는 통상 다음과 같은 수법을 통해 진행되고 있습니다.

 

 

여기서 금융정보란 계좌번호, 계좌비밀번호, 보안카드일련번호, 보안카드번호 등을 말하는 것으로

현재까지는 동 수법을 이용한 금융사고 사례는 없었지만 이제부터라도 주의하셔야 하겠습니다.

 

이렇게 이메일이나 휴대폰 문자(SMS) 등을 통해 특정 사이트로 유도시켜

이익을 취하는 신용사기 수법을 스캠(SCAM)이라고 합니다. 

 

스캠은 아직 국내에서는 생소한 공격이지만 외국에서는 이미 널리 알려진 공격으로,

사회공학적인 기법을 적용해 사람들을 현혹해

금융정보를 비롯한 개인정보를 탈취하거나 특정사이트 가입을 유도합니다.

 

 

 

 

 Ⅲ. 대응요령

 

금융정보 탈취사기는 무엇보다도 사전 피해예방이 중요한데요,   

 

 

 휴대폰 문자메시지를 통해 특정 사이트 접속을 유도하는 문자는

제도권 금융회사가 아닌 불법사기업자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응대하지 말아야 합니다.

또, '보안서비스', '금융정보 노출', '보안강화' 등의 문구에 현혹되어서는 안됩니다.

 

 

 

보안강화를 위해 예금통장(비밀번호 포함), 카드(비밀번호 포함)등을 보낼 것을

요구하는 경우 사기이므로 절대 입력해서는 안됩니다.

 

 

 

사기업자는 제도권 금융회사를 모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금융감독원 홈피에지 등을 통해 정당한 사이트인지를 반드시 확인하고 거래해야 합니다.

 

정당한 금융회사를 사칭하고 있다고 의심이 되는 경우 해당 금융회사 등에

 문의하여 사실여부를 확인하고 거래해야 합니다.

 

 

사기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신속히 경찰서에 신고하는 한편,

피해 금액을 송금받은 금융회사, 금융감독원 또는 경찰서에 계좌 지급정지를 요청합니다.

 

 

우리 모두 금융정보 탈취수법 및 대응요령을 잘 숙지하여

피해를 당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겠습니다!

 

<위 포스트는 금융위원회 블로그 '금상첨화'에서 스크랩되었습니다>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라이프 코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