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원 치료/항암

[스크랩] 임상약 코미녹스에 대하여(작용기전, 임상진행사항, 연구진행사항 등)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1. 11. 5.

몇몇 환우분들의 임상약 코미녹스에 대한 문의글이 있어 간단히 정리한 글을 올립니다.

 

[코미녹스의 작용기전]

 

암세포와 암줄기세포의 무한증식인자인 텔로미어를 공격해 녹이는 작용.(암세포의 재성능력을 상실케 하는 작용)-선택적으로 텔로미어의 길이가 긴 정상세포는 공격하지 않고 길이가 짧은 암세포만 공격)

 

#미국암협회 에델만&후세인교수 - 약물 내성을 띤 암줄기세포 제거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

 

#한양대 이영렬교수 – 내성이 있는 암세포주인 HL - 60R에서도 강력한 항암요과 발휘

 

#안젤리카 버거교수 – 코미녹스는 암세포와 암줄기세포의 텔로미어라는 증식인자를 공격한다.

 

 

[코미녹스 임상시험 상황]

 

((국내)) 식약청 임상승인 사항

1.2008/09/29 호르몬 불응성 뼈 전이 말기 전립선암 (2) 현대아산병원(김청수교수)

2.2009/04/14 악성뇌종양(진행성 및 재발성 신경교종) 1 - 서울대병원

3.2010/02/26 재발성, 호르몬불응성 급성백혈병 (1) 한양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4.2010/05/19 재발성, 호르몬불응성 고형암 (1) – 폐암, 위암, 대장암 등 모든 덩어리 암, 삼성서울병원

 

5.2011/09/02 수술 불가능한 1차 전신 항암 치료에 실패한 전이성 또는 진행성 간암 (2)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4주 연속 투여, 단독투여, 비비교, 공개, 한양대 서울병원(이영렬교수), 한양대 구리병원, 순천향대 부천병원

 

6.2011/09/09 진행성, 전이성 담도암(1~2상 연속임상) 세계 최초로 휴약기간 없이 임상기간 내 지속적 투여, 1차치료제로의 임상시험, 단독투여, 비비교, 공개,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국외)

1. 뼈전이 말기 전립선암 독일 1, 2(a,b) 완료 –효과 탁월하여 긴급의약품 지정 유무로 협상중, 영연방국가인 남아공에서 긴급의약품지정 신청하여 결과 기다리는 중

2. 2009/10/29 미국 / 진행성 비소세포 폐암 및 플레티넘제제 항암제에 반응하는 다른 종양을 대상 / 1 / 모든 임상시험비 미국립보건원에서 지원

 

 

<암세포와 텔로미어에 대한 설명>

 

인간의 세포는 대개 평생동안 50~100 정도 세포분열을 합니다. 세포의 염색체 부분에는 염색체를 보호하는

구실을 하는 텔로미어가 달려 있으며, 텔로미어는 세포의 수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인체 유전자의 일부로 텔로

미어의 길이가 짧아지면 (정상)세포의 수명이 끝나지만 암세포의 텔로미어는 짧아지지 않아 세포가 죽지 않고 무한히

분열합니다.(출처 : 코미팜 홈페이지 연구과제 소개, 2005 12 출력 자료)

 

암세포와 정상세포를 구별하는 특징은 효소인 텔로머라제의 발현과 암세포의 짧지만 안정된 텔로미어의 길이 있다.

(출처 : 2008 7 Clinical Cancer Research 발표된 논문중)

 

<텔로머라제에 대한 설명>

 

동안의 연구 논문을 보면 텔로머라제라는 효소를 이용하여 텔로미어를 짧게도 하고 길게도 있다고 발표

었습니다. 한편으로는 텔로머라제를 없애면 암세포를 없앨 있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동물실험에서 텔로머

라제를 제거하는 실험을 , 노화와 암이 동시에 나타나 텔로미어 이론은 미궁에 빠지고 말았습니다. 그래서 코미녹

스가 텔로머라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결과, 코미녹스는 텔로머라제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텔로미어에 직접 작용을 하여 텔로미어를 직접 짧게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였습니다.(출처 : 코미팜

페이지 연구과제 소개, 2005 12 출력 자료)

 

20umol/L 정도의 높은 농도로 코미녹스를 처리해도, 텔로머라제 효소의 활성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

었습니다.(출처 : 2008 7 16 CCR논문 관련 회사 홈페이지 게시 )

 

코미녹스는 텔로머라제 활성을 직접적으로 저해하는 것은 아니고 텔로미어에 결합함으로써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

. (출처 : 2008 7 Clinical Cancer Research 발표된 논문중)

 

<코미녹스의 항암 기전>

 

코미녹스는 암세포 염색체의 텔로미어 부위에서 특이적 또는 비특이적 DNA 손상을 일으켜 직접적으로 텔로미어를

합니다. 결과 텔로미어의 단축과 유전자 불안정이 일어나고 암세포는 사멸하게 됩니다.(출처 : 코미팜 홈페이지

연구과제 소개, 2005 12 출력 자료)

 

코미녹스는 농도 의존성이 있으며, 텔로미어 길이에 의존한다. ...중략...코미녹스는 짧은 텔로미어를 가진 종양세포에

처리했을 세포 사멸이 유도되었다. ...중략...이러한 효과는 텔로미어 길이를 가진 폐암 세포주 H183 (13kb, 72

처리)에서는 보이지 않았다. H183 폐암세포에서 텔로미어 손상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노출 시간의 연장 또는 100%

억제 농도 이상의 코미녹스 처리를 필요 것으로 여겨진다.(출처 : 2008 7 Clinical Cancer Research 발표

논문중)

 

전이된 암세포의 경우 세포 분열 작용은 왕성하지만, 원발성 암에 비해 짧은 텔로미어를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코미녹

(KML001) 투약에 의해 전이된 암세포가 먼저 반응을 보일거라 생각됩니다. 당사는 향후 코미녹스를 모든 암의 전이

말기암 치료제 우선적으로 개발할 것입니다.(출처 : 2008 7 16 CCR논문 관련 회사 홈페이지 게시 )

 

폐암의 경우, 350 종류의 암세포 텔로미어가 짧은 암세포가 50%정도 존재 하는 것으로 추정.(출처 : 2008 7

16 CCR논문 관련 회사 홈페이지 게시 )

 

<정상세포에 영향은? 없다.>

 

암세포는 정상세포가 노화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돌연변이 세포이며 정상세포가 노화된다는 것은 증식유전자 (텔로

미어) 짧아진다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암세포의 텔로미어는 정상세포의 텔로미어보다 짧습

니다. (출처 : 코미팜 홈페이지 연구과제 소개, 2005 12 출력 자료)

 

 

정상세포의 DNA 붙어 있는 증식 유전자인 텔로미어 길이는 평균 15~20kb이지만 대부분 암세포의 DNA 붙어 있는

증식 유전자인 텔로미어 길이는 평균 5kb(전립선암의 텔로미어 길이는 3.5kb)라는 사실을 밝혀 코미녹스로 치료시

부작용이 없을 밖에 없다는 사실을 증명하였음. (출처 : 07.3.23 주총시 배포된 자료)

 

<코미녹스를 이용한 향후 치료법>

 

현재까지 밝혀진 암세포의 숫자만도 1300가지 이상임. 많은 암세포를 상대로 동물실험과 임상시험을 한다는 자체가

힘이 뿐더러 막대한 비용을 지출하여야 하나, 암세포의 텔로미어에 코미녹스를 반응시키면 어느 선에서 치료 효과

있다는 사실을 간단히 밝힐 있음. 모든 암세포에 있어 텔로미어와 코미녹스는 마크 역할을 것으로 예측하

 

있으며 미래의 새로운 유전자 치료 방법으로 각광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출처 : 07.3.23 주총시 배포된 자료)

 

코미녹스는 텔로미어에 대한 표적 약제로, 짧은 길이를 가진 종양의 치료를 위해 연구되어져야 한다. ...중략....코미녹

스는 다양한 종류의 짧은 텔로미어를 가지는 암의 치료에 유용하다는 결론 내릴 있다.(출처 : 2008 7 16

CCR논문 관련 회사 홈페이지 게시 )

 

<임상 결과에 대한 코멘트>

 

임상환자 35명중 2 (6%) 완전반응, 18 (51%) 부분반응, 3 (9%) 악화되지 않음, 12 (34%) 악화, 66%에서

효과. 3개월 생존이 예상되던 말기 전립선암 환자가 1 6개월 이상 고통없이 생존했다. (출처 : 2006 3 10, 여의

유럽 임상 결과 발표 내용)

 

현재까지의 독일 임상결과 뼈전이 암환자 일부가 완치되는 효과도 확인 하였으며, 항암제들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

부작용(구토, 탈모,통증등) 거의 발견되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항암제 치료를 하는 과정에서 부작용으로 머리

카락이 빠진 환자들의 머리카락이 새롭게 나고 통증이 완화되는 부수적인 효과도 확인 하였습니다. (출처 : 2008 7

16 CCR논문 관련 회사 홈페이지 게시 )

 

미국 폐암 임상 사례, 62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 코미녹스 임상 참여후 크기가 증가하던 4센치 종양 여러개의

종양 전부가 없어짐. 임상환자중 홍조현상(유일한 부작용) 2 생겼으나 해열제 처방으로 없어짐 (출처 : 2011 3

추총시 발표).

 

< 줄기세포에 대한 효과>

 

 

코미녹스는 암세포 증식인자인 텔로미어를 공격함으로써 세포재생능력을 상실하게 하는 하는데 일반 암세포뿐 아니라

암줄기세포에서도 동일한 효과 나타낸다" "코미녹스는 특히 암줄기세포가 자신을 적으로 인식하지 못하도록

약물을 거부하는 기능을 작동하지 않도록 한다" 설명했다.(출처 : 세계줄기세포 보고대회, 매일경제 2010 10 14

기사)

 

< 줄기세포 내성 암세포에 효과>

 

줄기세포의 사멸을 증명하기 위해 탁솔제제에 수백 내성이 생긴 전립선암 세포들과 호르몬 치료에 내성이 생긴

전립선암 세포들에 코미녹스로 실험해 강력한 항암 효과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켰다고 코미팜사는 설명했다. 줄기

세포는 자기보호기능을 가지고 있어 기존 항암제 또는 방사선 치료과정에서도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오히려 활발

활동을 하기 때문에 암을 점점 악화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치료 횟수가 증가할수록 줄기세포들도 강해져 전이가 점점 확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버거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코미녹스가 내성이 생긴 암세포의 줄기세포 DNA 손상을 입혀 궁극적으로는 내성이

강화된 줄기세포도 사멸시킨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출처 : 미국 학회 발표, 매일경제 2011 4 4 기사)

 

출처 : 암과 싸우는 사람들
글쓴이 : 미지의땅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