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산화보충제, 암 예방효과 없다
과일이나 채소를 직접 섭취하지 않고 비타민류 등의 `항산화 보충제'만 먹으면 암을 예방하는 데 효과가 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항산화제는 세포의 산화를 느리게 하거나 막아주는 물질로, 특히 활성산소종(ROS)에 의한 세포막의 지질, 단백질, DNA의 산화적 손상을 막아줌으로써 암 예방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보통 항산화 물질은 과일과 채소에 풍부한데, 최근에는 천연 및 합성 항산화 보충제 형태로 판매가 이뤄지고 있다.
국립암센터 암예방검진센터 명승권·김열 연구팀은 항산화 보충제의 암 예방 효과를 임상시험을 통해 연구한 국제학술지 발표논문(1985~2007년) 31개(22개 대조군 임상시험)를 통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논문에 따르면 연구팀은 31개 논문에 발표된 총 16만여명의 임상연구 대상자를 8만8천여명의 `항산화 보충제' 사용군과 대조군(위약군 또는 비사용군) 7만2천여명으로 나눠 분석했다.
이 결과 비타민A, 비타민E, 베타카로틴, 셀레늄 등의 항산화 보충제를 이용한 사람들은 위약을 먹었거나 아무것도 먹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암 발생의 상대위험도가 0.99(95% 신뢰구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항산화 보충제의 종류, 암의 종류, 개별연구의 질적 수준에 따른 분석에서도 암 예방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오히려 방광암의 경우 항산화 보충제가 암 발생률을 1.52배 정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됐다는 게 연구팀의 주장이다.
명승권 전문의는 "연구결과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1차 암예방이나 암 진단환자를 대상으로 한 2차 암예방 모두 항산화 보충제의 효과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이번 연구결과가 이전 환자대조군 연구나 역학연구와 차이가 나는 이유는 앞으로 좀 더 연구해야 할 과제"라며 "현재 추정되는 가설 중 하나는 인공 합성품인 항산화 보충제와 과일, 채소에 들어있는 천연 항산화물질이 인체에서 나타내는 효과가 다르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미국 질병예방특별위원회는 암이나 심혈관질환 예방목적으로 비타민 A, C, E, 종합비타민 또는 기타 항산화 보충제를 사용하는데 대해 근거가 불충분한 것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지난 2005년 미국암협회(American Cancer Society)에서도 암 환자가 암 치료 중 비타민이나 기타 보충제를 복용하는 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발표한 바 있다.
명 전문의는 "각종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금연, 절주, 적게 먹기, 싱겁게 먹기, 과일과 야채의 충분한 섭취, 규칙적인 운동, 적정 체중유지가 중요하다"면서 "따로 합성 비타민류와 같은 항산화 보충제를 과도하게 섭취할 필요는 없는 것 같다"고 조언했다.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 > 암 예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 다빈도 암 '이렇게' 예방한다 (0) | 2011.04.06 |
---|---|
국민 암 예방수칙 10가지 (0) | 2011.04.05 |
시금치등 녹색 채소 많이 먹어야 '암도 예방 오래 산다' (0) | 2011.04.04 |
(스크랩)암 예방의 중요성 (0) | 2011.04.01 |
[스크랩]"와인으로 암 예방 가능해" (0) | 2011.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