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흙곰팡이에서 새 간암치료 물질 발견
![]() |
서울대 박종완 교수팀, 헤파톨로紙 발표
“차세대 간암치료제 개발 가능성 열어”
【서울=뉴시스】김훈기 기자 = 국내 연구진이 흙 곰팡이에서 새로운 간암치료 물질을 발견해 차세대 간암치료제 개발을 위한 노둣돌을 놓았다. 연구결과는 간 관련 최고 권위 학술지인 ‘헤파톨로지(Hepatology)’ 온라인 속보(10일자)에 게재됐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9일 박종완 서울의대 교수 연구팀이 흙곰팡이(케토미움)에서 분비되는 항생물질(케토신)이 암의 혈관형성을 차단해 간암 성장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국내 5대 암(위암, 유방암, 자궁암, 간암, 대장암) 중 하나인 간암은 일반적으로 바이러스 감염이나 알코올(음주)에 의해 발병한다. 별다른 증상이 없어 대부분 간암 말기에 우연히 발견된다.
의사들은 간암 말기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방사선, 항암요법, 호르몬 치료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환자의 수명을 눈에 띄게 연장시키거나 완치하는 치료제는 개발되지 않았다.
박 교수팀은 흙 곰팡이에서 분비되는 케토신이 직접 간암 세포를 죽이지 않지만, 암조직의 단백질(히프원, HIF-1)과 혈관들을 사멸시켜 궁극적으로 간암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실험을 통해 입증했다.
박 교수팀은 히스톤(염색질을 구성하는 중심 단백질) 단백질의 메틸화(유기화합물의 수소원자를 메틸기(-CH3)로 치환하는 반응) 효소가 암 성장에 매우 중요한데, 케토신이 이 효소를 억제한다는 사실에 착안해 케토신이 암세포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고 가정했다.
연구팀은 간암을 이식시킨 생쥐에 케토신을 투여해 간암 성장이 억제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하지만 연구팀의 예측과 달리 케토신에 의해 간암세포가 사멸되는 게 아니라 암조직의 히프원 단백질과 혈관들을 사멸한다는 것을 밝혀낸 것이다.
특히 박 교수팀은 케토신이 정상세포에는 반응하지 않고 간암 세포에만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특징을 찾아내 차세대 항암제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
케토신이 정상세포에는 전혀 반응하지 않고, 간암세포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해 간암세포의 히프원 단백질과 혈관생성을 억제할 수 있어 차세대 간암치료제로 개발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박 교수팀은 케토신이 기존 약물과 전혀 다른 히프원 단백질 억제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어 더욱 효과적인 항암 치료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종완 교수는 “이번 연구는 우리나라 5대 암 중 하나인 간암만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도 다른 약물과는 전혀 다른 메커니즘을 보유해 차세대 간암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는 새로운 물질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며 “향후 케토신을 선도물질로 한 새로운 항암제 개발 시스템이 구축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교과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선도연구센터(SRC)사업과 보건복지부(중개연구)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bom@newsis.com
2010-12-19 06:30
출처 : 뉴시스
'종류별 암 > 간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차세대 간암 치료제 발견!! (0) | 2011.01.03 |
---|---|
[스크랩] 간암의 색전술부작용 (0) | 2010.12.27 |
고주파 열 치료, 간암 절제 않고도 큰 효과 (0) | 2010.12.21 |
간암 전문의들 호평 `DC비드`…부작용 줄이고 항암·색전 성능은 개선 (0) | 2010.12.20 |
B형 간염 보균자는 요주의! - 간암 (0) | 2010.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