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전립선암의 조기발견율이 최근 높아지고 있지만 완치율(5년 생존율)은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턱없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비뇨기과학회와 비뇨기종양학회 등에 따르면 두 학회가 전립선암 조기검진 사업의 일환으로 실시하고 있는 블루리본 캠페인과 대한민국 전립선암 지도만들기 역학조사 결과에서 이러한 실태가 잘 드러나고 있다.
하나의 예로 1997년부터 2009년까지 서울 단일지역의 전립선암 환자 1672명에 대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체 환자 중 국소전립선암(전립선에만 암이 발견된 경우)의 비율이 97~2000년 57.6%였던 것이 2007~2009년에는 79%로 크게 높아졌다. 전립선에서 다른 곳으로 전이되지 않은 상태, 즉 조기에 발견한 사례가 그만큼 많아진 것이다.
반면 원격전이암의 비율은 39.2%에서 7.9%로 크게 감소했다. 이미 전이된 상태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줄었다는 얘기다. 그러나 환자의 생존율은 2008년 76.9%로 ‘주요 암 5년 생존율 국제비교’ 결과 미국(98.9%)에 비해 22%포인트나 낮은 것으로 나왔다.
현재 남성암 5위를 차지하는 전립선암은 평균 수명이 연장되는 추세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09년 보건복지부 암 발생률 조사에 따르면 99년 전립선암 신규 환자는 1437명이었으나 2007년에는 5292명으로 지난 8년간 3.7배나 증가했다. 또 전립선암 사망률(통계청 국감자료)도 97년 인구 10만명당 1.5명에서 2008년 4.7명으로 껑충 뛰었다.
비뇨기과학회 백재승 회장(서울대 의대 비뇨기과)은 “전립선암은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할 경우 완치 가능성이 매우 높지만, 진단 시기가 늦어지면 주변 장기, 림프절 및 뼈로 쉽게 전이되어 완치가 불가능하다”면서 “광범위한 전립선특이항원(PSA) 검사와 같은 조기 검진을 통해 더욱 적극적인 발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PSA 검사는 진단 키트에 채취한 혈액을 적용하는 간단한 검사법으로 세계적으로 전립선암 조기발견을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된다. PSA 수치가 3ng/㎖ 이상이면 암 발생 위험군으로 분류돼 조직검사를 통해 암 유무를 알아봐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4~10ng/㎖의 수치에서 약 15%, 10ng/㎖이 넘는 경우 30% 정도에서 전립선암이 발견되고 있다. 전립선암은 PSA 검사 외에도 초음파검사, 직장수지검사, 전립선 조직검사 등으로 진단이 가능하다.
전립선암 예방 수칙
- 50대 이상의 남성은 매년 한번 전립선암 검진(직장수지검사, PSA 검사)을 받는다.
- 가족이나 친척 중에 전립선암에 걸린 사람이 있다면 40대부터 매년 한번 검진을 받는다.
- 된장, 두부, 청국장 등 콩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식품을 즐긴다.
- 동물성 고지방식 섭취를 피한다.
- 신선한 채소와 과일을 많이 섭취한다.
- 항산화 물질인 리코펜이 풍부한 토마토를 대친 상태로 섭취한다.
- 매일 30분 이상 운동을 한다.
'종류별 암 > 남성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식습관 서구화되면서 전립선암 급증 (0) | 2010.09.11 |
---|---|
더 깊은 곳까지 복강경으로, `전립선암` (0) | 2010.09.09 |
임상 실험에서 최초 전립선암 환자를 치료하는 InSightec (0) | 2010.09.02 |
[스크랩]전립선비대증은 암으로 진행하지 않는다 (0) | 2010.09.01 |
한국 전립선암 지도 만들기, 올해 2차 역학 조사 시작 (0) | 2010.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