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류별 암/위암

[스크랩]위암 수술을 받기 전에 시행한 검사로 수술 후 생존율을 예측 가능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0. 8. 13.

위암 수술을 받기 전에 시행한 검사로 수술 후 생존율을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립암센터 김영우, 박숙련 박사 연구팀은 2001년부터 2005년까지 국립암센터에서 위암으로 진단받고 위절제수술을 받은 1,96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컴퓨터 단층촬영(CT) 검사를 이용해 위암의 병기를 측정하고, 각각의 병기에서 5년 생존율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점막에서 시작된 종양이 위벽을 침습해 들어간 정도와 위 주위의 림프절에 전이된 정도가 모두 5년 생존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p<0.001), 독립적인 예측 인자로서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 전에 병기가 1A기인 경우 5년 생존율은 96.0%, 1B기인 경우 84.8%, 2기 때는 74.0%, 3A기는 55.5%, 4기는 37.5%였다.

위암의 정확한 병기(암의 진행 정도)는 수술 후 떼어낸 위암 조직을 가지고 종양이 위벽을 얼마나 침입했는지, 림프절에 얼마나 많이 전이 됐는지, 다른 장기로 전이됐는지를 검사한 후 결정된다.

따라서 수술을 받은 환자는 수술 직후 자신의 병기를 알 수 없고 조직검사 결과가 나오는 수일 후 그 결과를 알 수 있었다.

김영우 박사는 "최근 수술 전에 시행하는 선행 항암 화학 요법이나 방사선 치료 등에 대한 다양한 임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며 "그런 경우 암이 수술 전에 줄어들어 원래 그 환자가 가지고 있던 병의 정확한 정도를 알기란 불가능해, 수술 후에 나오는 병리학적 병기가 가장 정확하게 환자의 예후를 예측한다고 하던 개념을 더 이상 적용할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번 연구 결과로 수술 전 임상 병기를 토대로 층화 분석을 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됐으며, 수술 전 검사로 병을 완전히 치료하기 위한 절제 여부를 가늠하거나 수술 전 항암치료 효과를 평가함에 있어 비뚤림 현상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의의를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Annals of Surgery 2010년 3월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