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계가족 가운데 위암을 진단받은 사람이 있는 데다가 헬리코박터에 감염까지 된 경우 위암 발병률이 5.3배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직계가족력에 흡연을 한 경우는 4.9배나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위암 가족력과 헬리코박터균 감염, 흡연이 위암의 신호탄인 셈이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나영 교수는 2003년 5월~2008년 7월 위암 환자 428명과 위암이 아닌 환자 368명을 대상으로 위암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발표했다.
그동안 위암 직계가족력이 있을 때는 위암 발병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한국인을 대상으로 위암 직계가족력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 여러 인자 간 체계적 연구를 통해 인자 간 연관성을 증명한 것은 이번 연구가 처음이다.
연구 결과, 위암 발병률은 직계가족 중 위암이 있을 때 2.85배로 가장 높았다.
헬리코박터 감염된 경우 1.85배, 어린 시절 시골에 거주한 경우 1.53배 더 위암 유병률이 높았다.
어린 시절 주거 형태가 위암 발병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이 5세 미만인 어린 나이에 일어나기 때문이다. 헬리코박터는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은 시골에서 더 잘 감염되는데 성인이 되어 도시생활을 하더라도 유년기를 시골에서 보냈다면 위암 발병률이 더 높아지게 된다.
위암 발병률은 흡연자의 경우 1.83배, 매운 음식을 즐기는 경우 1.51배 더 높았다.
또한 금전적인 소인도 위암과 관련이 있는 것는 것으로 조사됐다. 월소득 500만원 이상인 경우 보다 100만원 이하인 그룹에서 2.16배 더 높은 발병률을 보였다. 그러나 100만~500만원 사이 구간을 비교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특히 이들 위험인자는 단독으로 있을 때보다 복합될 때 더 큰 위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위암 직계가족력과 헬리코박터가 동시에 있을 때는 위암 발병률이 무려 5.32배로 크게 높아졌고, 위암 가족력이 있으면서 흡연을 했을 때는 4.86배 더 높아졌다.
김나영 교수는 "위암 직계가족력이 있다면 20대부터 헬리코박터 감염 여부를 검사해 적극적인 제균 치료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소화기학회지인 ‘소화기학’ 2월호에 게재됐다.
'종류별 암 > 위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위암·식도암' 연관 유전자 변이 2종 규명 (0) | 2010.08.25 |
---|---|
[스크랩]위암 수술을 받기 전에 시행한 검사로 수술 후 생존율을 예측 가능 (0) | 2010.08.13 |
[스크랩]음식 짜게 먹으면 '위암' 발병율 얼마나 높아질까? (0) | 2010.08.11 |
[스크랩] 양파도 위암 예방에 효과, 먹는 양과 방법은? (0) | 2010.08.10 |
[스크랩]위염이 어떻게 위암으로 진행되는가.. (0) | 2010.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