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암환자를 위한 작은정보

[스크랩]소화기내시경 검사시 조직검사없이도 암의 여부를 알수 있다!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0. 3. 15.

소화기내시경 검사를 받을 때 별도의 조직검사를 받지 않아도 염증이나 궤양, 암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순천향대학교 소화기병센터 조주영 교수팀은 최근 조기식도암, 위선종 및 조기 위암환자 45명을 대상으로 공초점현미경내시경검사와 병리조직 검사를 비교분석한 결과 98%에서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고 11일 밝혔다.

공초점현미경내시경은 파장이 짧고 에너지가 높은 자외선과 가시광선을 이용해 생체조직 구조와 생물학적 현상을 연구하는데 유용한 '공초점현미경'의 기능에다 특수 레이저 내시경을 부착한 것으로 실시간으로 조직 내 세포를 자세히 관찰할 수 있다.

사용법은 기존 내시경 장비와 같지만, 해당 조직 부위를 자세히 보기 위해 환자에게 형광물질이 정맥으로 주사된다.

현재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소화기내시경검사에서 염증이나 궤양, 암 등이 의심되는 경우 조직검사를 하는데, 결과를 받기까지 일정시간이 소요되고 내시경 진단과일치하지 않는 경우 재검과 조직검사를 다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의료진은 조직생검에서는 위 선종으로 진단됐으나 공초점현미경내시경에서 위암이 의심돼 내시경절제술을 시행한 결과, 조직 병리검사에서 조기위암이 진단된 경우도 2건이나 됐다고 설명했다.

조 교수는 "조기암과 전암성 병변의 경우 내시경치료로 완치되는 경우가 많지만 사전에 조직검사 횟수가 많으면 내시경절제술을 시행했을 때 출혈이나 천공의 위험이 높아진다"며 "공초점현미경내시경을 이용하면 조직검사의 횟수도 줄이고 치료방법을 결정할 때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공초점현미경내시경은 조직 생검이 필요 없기 때문에 아스피린 같은 항응고제를 복용하고 있는 환자도 출혈 위험 없이 검사를 받을 수 있는 것이 장점"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