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류의 장/암,건강도서, 소개

세밀화로 보는 약용식물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0. 3. 8.

 

세밀화로 보는 약용식물

국립수목원 저 | 지오북 ㅣ 정가: 20,000원

 

책소개

식물세밀화가의 눈으로 들여다본 약용식물의 아름다움
'세밀화로 보는 약용식물' 한글·영어판 출간!!


식물세밀화는 사진이나 맨눈으로는 보기 힘든 식물의 구조와 형태를 세밀화가의 세심한 관찰력과 표현력으로 담아내는 예술작품이다. 이 책은 식물세밀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식물세밀화 제작에 남다른 노력을 기울여온 국립수목원에서 제작한 약용식물 세밀화를 따로 모아 수록한 것으로, 현지조사를 통해 식물연구자들이 제공한 표본을 통해 화가들은 세밀한 관찰, 정확한 표현, 올바른 색감과 더불어 창의력을 발휘하여 가장 아름답게 보이도록 화면을 구현하였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약용식물 세밀화 76점을 식물의 특징, 분포뿐만 아니라 약재명, 성분, 효능, 이용부위 등 필요한 정보를 안내한다. 외국인들도 보기 쉽도록 각 식물의 특징에 대한 설명을 국어와 영문을 함께 수록하였으며, 꽃이 지는 시기에도 열매가 열리지 않는 시기에도 시공간을 초월하여 언제든 각 식물의 부위의 형태적 구조와 특징을 한 화면에서 감상하고 연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저자 소개

저자: 국립수목원

국립수목원은 조선시대 제7대 임금인 세조대왕의 능림으로 지정되어 540여 년간 엄격하게 보호·관리되어온 우리나라 최고의 숲, 광릉숲에 자리 잡은 산림생물전문 연구기관이다.
국립수목원에서는 우리나라의 산림생물에 대한 조사와 수집, 생물다양성 보전, 산림자원 연구 그리고 자연환경교육 등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산림생물을 공부하고자 하는 학생과 일반인들에게 우리 숲에서 살아가는 생물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책을 발간하는 일도 하고 있다.
특히 2003년부터 지금까지 식물연구의 중요한 분야인 식물세밀화를 제작하는 일에도 힘쓰고 있다. 식물의 형태학적인 구조와 특징을 정확하고 섬세하게 살려내고 아름답게 표현되도록 하기위해 식물학자와 세밀화가가 함께 노력하고 있다.

목차

고란초, 산일엽초, 우단일엽, 삼백초, 겨우살이, 등칡, 쥐방울덩굴, 패랭이꽃, 꿩의바람꽃, 으름덩굴, 삼지구엽초, 깽깽이풀, 애기똥풀, 점현호색, 현호색, 뱀딸기, 큰괭이밥, 다래, 제비꽃, 가시오갈피, 인삼, 섬시호, 산수유, 참좁쌀풀, 큰까치수염, 용담, 과남풀, 큰구슬붕이, 박주가리, 누리장나무, 꽃향유, 벌깨덩굴, 백리향, 섬백리향, 선갈퀴, 인동, 도라지, 벌개미취, 삽주, 큰엉겅퀴, 바늘엉겅퀴, 산국, 좀씀바귀, 왕씀배, 미역취, 흑삼릉, 둥근잎천남성, 천남성, 두루미천남성, 점박이천남성, 큰천남성, 반하, 닭의장풀, 달래, 두메부추, 산마늘, 산부추, 울릉산마늘, 참산부추, 한라부추, 윤판나물, 큰애기나리, 말나리, 섬말나리, 참나리, 삿갓나물, 각시둥굴레, 왕둥굴레, 층층둥굴레, 금강애기나리, 연영초, 산자고, 자란, 약난초, 석곡, 천마

출판사 리뷰

식물세밀화가의 눈으로 들여다본 약용식물의 아름다움
‘세밀화로 보는 약용식물’ 한글·영어판 출간!!


식물세밀화는 사진이나 맨눈으로는 보기 힘든 식물의 구조와 형태를 세밀화가의 세심한 관찰력과 표현력으로 담아내는 예술작품이다. 역사적으로 식물세밀화는 약용식물에 대한 의학·식물학적 이용 목적에서 출발했다. 이후 수백 년에 걸쳐 발전해오면서 식물학 연구의 한 부분뿐만 아니라 독립된 하나의 예술 분야로 자리 잡았다. 한편 식물세밀화의 출발점이었던 약용식물은 신물질 발견, 신약 개발의 주요 자원으로 인식되면서 오늘날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식물연구자와 식물세밀화가의 교감과 소통에 의한 공동작업 결과물
『세밀화로 보는 약용식물』은 2003년부터 식물세밀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식물세밀화 제작에 남다른 노력을 기울여온 국립수목원에서 제작한 약용식물 세밀화를 따로 모아 수록하였다. 이 책은 식물연구자들과 세밀화가들이 공동으로 작업한 결과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현지조사를 통해 식물연구자들이 제공한 표본을 통해 화가들은 세밀한 관찰, 정확한 표현, 올바른 색감과 더불어 창의력을 발휘하여 가장 아름답게 보이도록 화면을 구현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식물화가들은 식물 하나하나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재현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그림으로서의 복합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게 된다. 또한 식물연구자는 작업과정에서 식물의 형태적 특징이 잘 표현되도록 감수(監修)를 하여 정확성과 사실성을 높이게 된다.
그리하여 비로소 꽃이 지는 시기에도 열매가 열리지 않는 시기에도 시공간을 초월하여 언제든 각 식물의 부위의 형태적 구조와 특징을 한 화면에서 감상하고 연구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한국 약용식물 세밀화를 외국인들에게도 소개할 수 있도록 영문 설명을 함께 수록
이처럼 학술적, 예술적 가치를 모두 갖춘 국립수목원의 약용식물세밀화를 모아 일반인들도 폭넓게 접할 수 있도록 자연생태와 자연지리에 관한 도서를 전문으로 출판하는 지오북GEOBOOK에서 단행본으로 출간하였다.
『세밀화로 보는 약용식물』은 약재로 널리 이용하는 도라지와 삼지구엽초를 비롯하여 현호색, 용담, 천남성 등을 포함하여 우리나라 약용식물 세밀화 76점이 수록하였다. 더불어 식물의 특징, 약재명, 성분, 효능 등을 간략하게 정리하여 한글과 영문으로 함께 수록하여 외국인들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징과 구성
1.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약용식물 세밀화 76점을 수록했다.
2. 식물의 특징, 분포뿐만 아니라 약재명, 성분, 효능, 이용부위 등 필요한 정보를 실었다.
3. 외국인들도 보기 쉽도록 각 식물의 특징에 대한 설명을 영문을 함께 수록하였다.
4. 식물학 용어를 별도로 그림과 함께 설명하여 독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5. 식물은 식물분류체계에 따라 과(科)별로 분류했다.

'교류의 장 > 암,건강도서,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놀라운 자연 건강법  (0) 2010.03.10
과식의 종말  (0) 2010.03.09
암! 극복할 수 있다: 박재갑 국립암센터 원장의   (0) 2010.03.06
웰니스 WELLNESS  (0) 2010.03.05
산나물 들나물 대백과  (0) 2010.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