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62%, 말기치료 본인 결정해야
우리나라 국민 3명 중 2명은 말기 질병치료 상황에서 사회경제적 부담이 없다면, 환자 스스로 말기치료와 관련된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암센터 윤영호 박사팀이 국제학술지 ‘완화의학(Palliative Medicine)’ 2009년 1월호에 게재한 연구논문에 따르면 지난 2004년 일반 국민 1천19명을 대상으로 ‘만약 사회경제적 부담이 없다면 누가 말기치료와 관련된 의사결정을 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62.3%(635명)가 본인이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고 답했다.
가족이나 의사가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는 답변은 각각 21.7%, 16%에 그쳤다.
반면 ‘사회경제적 부담이 있을 경우’를 전제로 한 질문에는 답변에 차이가 났다.
‘사회경제적 부담이 있다면 말기치료와 관련된 의사결정을 누가 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본인이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는 응답이 44.9%(458명)로 낮아졌다. 가족이 결정해야 한다는 응답이 49.1%(500명)로 더 많았고, 의사 6.0%(61명) 등의 순이다.
또한 사회경제적 부담 유무에 상관없이 본인이 말기에 관한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고 응답한 사람들 중 90%가 말기 상황에서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중단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가족이 말기에 관한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고 응답한 사람 중 무의미한 연명치료에 부정적인 비율도 79%에 이르렀다.
이번 조사결과는 우리나라 국민이 기본적으로 임종을 앞둔 말기 상황에서 자기결정권을 중요시하면서도 자신의 결정이 가족에게 짐이 되는 상황은 피하고 싶어 한다는 점을 반영하고 있다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즉 우리 국민도 서양처럼 환자 본인의 자기의사결정을 중요시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가족을 배려하려는 성향이 강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윤영호 박사는 “말기 환자 스스로는 가족에게 부담이 되고 싶어 하지 않지만 말기과정 자체가 가족에게 사회경제적 부담이 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존엄사 입법이 되더라도 사전의사결정서 등을 통해 환자의 자율성을 존중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존엄성을 지키면서 품위있는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회.경제적 지원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 > 암환자를 위한 작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여성 암 걸리면 이혼당할 확률 남성보다 7배 (0) | 2009.11.25 |
---|---|
국민 12% 암검진 결과 이해 못해 (0) | 2009.11.24 |
[스크랩]12월1일부터 암환자 본인부담금5%로 줄어든다는 기사관련해서 (0) | 2009.11.20 |
(스크랩)암환자 가족 3명 중 2명 우울증 (0) | 2009.11.19 |
[스크랩]여성 암환자 외모관리 어떻게 (0) | 2009.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