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형간염(Viral hepatitis C) : 표본감시 전염병 |
C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감염에 의한 질환
신고범위 : 환자, 병원체보유자로 해당 의료기관에서 처음으로 진단 한 자
신고시기 : 7일 이내 신고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 자 : C형 간염에 합당한 임상적 특징을 나타내면서, 다음 검사방법 등에 의해 해당 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자
- anti-HCV 양성
◈ 의사환자 : 임상소견은 없으나, 검사방법에 의해 해당 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자
54.1 역학적 특징
◈ 세계현황
- 세계보건기구는 전세계인의 3%가 HCV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함
- 간경화나 간암이 발생할 위험이 증가하는 만성 보균자는 1억 7천만 명으로 추정됨
◈ 국내현황 : 건강한 성인 및 공혈자에서 C형 간염 항체 양성율은 약 1%임
◈ 전파경로 : 비경구적 감염 - 주사기 공동 사용, 수혈, 혈액투석, 성접촉, 모자간 수직 감염 등으로 전파됨
◈ 수혈후 간염의 주요 원인이며, C형 간염은 만성화 경향이 B형 간염보다 높아, 결국 만성 간염, 간경변,
간암으로 이행됨
◈ 바이러스 돌연변이 등으로 유전적 다양성(quasispecies)이 특징임
54.2 임상적 소견
◈ 잠 복 기 : 15~150일
◈ 임상증상
① 급성 C형 간염 임상증상
- 대부분 경미하며, 수혈 후 감염인 경우 70~80%가 무증상 감염
- 서서히 시작되는 감기 몸살 증세, 전신 권태감, 메스꺼움, 구역질, 식욕부진, 우상복부 불쾌감 등
② 만성 C형 간염 임상증상
- 급성 환자의 약 80~90% 환자가 만성화, 만성 C형 간염의 20%가 간경변으로 진행. 전혀 증상이 없이
우연히 종합검진에서 발견되거나 만성 피로감, 간부전이나 문맥압 항진증 같은 간경변증의 합병증이
첫 증상으로 발현됨
- 간 이외 증상 : 혈관염, cryoglobulinemia, Sjogren 증후군, 막증식성 사구체신염
54.3 검사실 소견
◈ 진 단
- anti-HCV 양성 -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법에 의한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
54.4 치료
◈ 급성 간염 : 안정 가료, 고단백 식이요법, Interferon 등
◈ 만성 간염 : 안정, 식이요법, 항바이러스제 치료(Interferon, Ribavirin)
54.5 환자 및 접촉자 관리
◈ 환자관리
- 격 리 : 혈액 및 체액 격리
- 환자의 혈액과 체액에 오염된 장비 소독
◈ 접촉자관리 :
- 노출후 예방 : 면역 글로불린 효과없음
54.6 예방
◈ C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의 발견과 전파 경로 차단
출처;대한의사협회
'종류별 암 > 간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간암의 위험요인 (0) | 2009.09.24 |
---|---|
[스크랩]복수가 찬 간경화 (0) | 2009.09.23 |
[자료] B형간염(Viral hepatitis-B) (0) | 2009.09.21 |
[자료] A형간염(Viral hepatitis A) (0) | 2009.09.18 |
[스크랩][자료] 간 죽이는 지방간 (0) | 2009.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