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형간염(Viral hepatitis A) : 표본감시 전염병 |
A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A virus)에 의한 급성 감염 질환
신고범위 : 환자
신고시기 : 7일 이내 신고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 자 : A형 간염에 합당한 임상적 특징을 나타내면서, 다음 검사방법 등에 의해 해당 병원체 감염이 확인
된 자
- IgM anti-HAV 양성
53.1 역학적 특징
◈ 세계현황
- 저개발국가에서는 소아를 포함하는 주민 대부분이 항체를 보유함
- 선진국일수록 항체 보유율이 낮아지고, 주로 성인층에서 환자와의 접촉을 통한 현증 감염 발생이 증가함
◈ 국내현황 : 선진국형으로 변화되어 1995년 이후 10~30세 사이에 A형 간염 환자가 증가함
◈ 전파경로
- A형 간염 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물에 의해 전파됨
- 환자의 대변을 통한 경구 감염, 주사기를 통한 감염(습관성 약물 중독자), 혈액제제를 통한 감염으로
전파됨
- 환자를 통해 가족 또는 친척에게 전파되거나 인구밀도가 높은 군인, 고아원, 탁아소에서 집단 발생함
◈ 전염기간
- 증상발현 2주 전부터 황달 발생 후 2주까지 바이러스 배출이 가장 왕성함
53.2 임상적 소견
◈ 잠 복 기 : 15~45일
◈ 임상증상
- 발열, 식욕감퇴, 구역, 구토, 쇠약감, 복통, 설사등 다른 바이러스 간염과 유사함
- 소아는 거의가 증상이 없는 불현성 감염(6세 이하에서 약 50%가 무증상)을 보이나, 연령이 높아질수록
증상이 심해짐
53.3 검사실 소견
◈ 진 단 : IgM anti-HAV 양성
◈ 혈청 간효소, 빌리루빈치의 증가
53.4 치료
◈ 안정 가료, 고단백 식이요법 : 만성화 가능성은 없음
53.5 환자 및 접촉자 관리
◈ 환자관리
- 격리 : 장내 배설물 격리
*격리기간 : 발병후 2주간 또는 황달발생후 1주간
◈ 접촉자관리
- 면역글로불린 투여 및 예방접종 가능
*노출후 적어도 2주 이내에 투여
53.6 예방
◈ 공중 보건위생 : 손씻기, 상하수도 정비, 식수원 오염방지, 식품 및 식품 취급자 위생관리
◈ A형 간염 백신 접종 : 다음의 고위험군에 대해 접종 고려
- 유행지역으로의 여행자 및 장기 체류자
- 주기적으로 A형 간염이 집단 발생하는 A형 간염 유행지역의 소아
- 남성 동성 연애자
- 불법 약물 남용자
- 직업적으로 A형 간염에 노출될 위험이 있는 자
- 만성 간질환 환자
- 혈우병 환자
출처;대한의사협회
'종류별 암 > 간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 C형간염(Viral hepatitis C) (0) | 2009.09.22 |
---|---|
[자료] B형간염(Viral hepatitis-B) (0) | 2009.09.21 |
[스크랩][자료] 간 죽이는 지방간 (0) | 2009.09.17 |
[자료]무턱대고 복용하는 약, 간에는 독 된다 (0) | 2009.09.16 |
[자료] 식도정맥류의 치료법-건강,암 (0) | 2009.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