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건강상식/식품,차,음료의 효능

곡식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08. 9. 25.

 



 

 

 

 

옛날 선조들은 주로 곡식위주의 식사를 했죠. 농경사회로 농사를 지으며 주요 에너지 공급원을

곡물인 '벼'로 하여 식사를 했습니다. 다른수단으로는 '조'나 '수수' 등이 있죠^^

하지만 현대에는 식습관의 변화로 육식위주나 인스턴트음식이 주로 이룹니다.

육식위주의 식습관이 곡식위주의 식습관보다 에너지효율면에서 더 좋을것 같지만 그건 잘못된 오해죠.

육식위주의 식습관광 인스턴트 음식은 현재 소아비만의 주된 이유가 되며 사회에 심각한 문제가 되고있습니다.

소아비만은 각종 성인병에 이유가 되고있기 때문입니다. 

 

<최고의 건강 음식 - 곡식. 곡식위주의 식사를 하자>

곡식 위주의 식사가 가장 이상적이고 건강한 식사이다. 흰쌀밥 위주의 식사, 곡식은 별로 중요시 하지 않고 야채나 과일을 더

중요하거나 많이 먹는 경우, 장수와 건강에 무엇가 좋은 것을 찾아서 보약, 건강식품 등을 열심히 먹는 경우 등 대부분 건강음식에 대한

 잘못된 생각과 식습관으로 건강해지지 않고 있다.

가장 이상적인 곡식 - 육곡.  조(녹색 조. 옥수수가 더 좋으나 구하기도 밥 해먹기도 힘이 든다), 팥, 수수, 기장, 현미,

검은 콩(쥐눈이콩, 서목태가 더 좋음). 이 여섯가지 중 조가 가장 많이 들어가야 한다.

야채, 과일, 고기의 비중을 줄이고 곡식위주의 식사를 하면 서서히 건강해지는 것을 느낄 것이다.

더 좋은 것은 곡식을 생것으로 먹는 것이다. 곡식의 생명력을 몸이 흡수하여만 건강해진다.

밑에 자세한 내용을 여러가지 인터넷 사이트에서 발췌하여 놓았다. 보시고 곡식위주의 식사가, 그것도 곡식위주의 생식이

왜 좋은 지를 이해하시고 식습관을 바꾸어 더욱 건강해지기를 바랍니다.

 < 병을 치료하거나 건강하게 하는 데 음식, 특히 곡식이 제일이다. >

"음식으로 못 고치는 병은 약으로도 못 고친다."  -히포크라테스-

음식의 중요성은 동서고금을 통하여서 그 중요성이 회자되고 있다.

히포크라테스는 음식이 바로 약이라고 하였고 동양의 의술에서는 약보불여식보(藥補不如食補)라하여 약이 먹는 음식만

 못함을 이야기하고 있다. 한편 동양의 최고의 의서인 황제내경에는 다섯가지 곡식의 기미를 가지고 많은 병을 고칠 수

있음을 선언하고 있으며 프랑스의 철학자는 네가 먹는 것을 이야기하여 주면 네가 어떤 사람인지를 말하여 주겠다고 하였다.

그리고 음식으로 못 고치는 병은 약으로도 못 고친다고 하는 말도 있다.

곡식(穀食)의 특징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성질상 너무 차거나 덥지도 않고 풍부한 영양이 있어 활동력을 강하게 한다.

야채나 근과들은 성질상 차갑기 때문에 너무 많이 먹으면 몸이 차가워져서 건강에 좋지 않지만 곡식은 그런 염려가 적다.

때문에 주식으로 사람들은 곡식(穀食)을 먹는 것이다.

세계 최고 최대의 의학 경전이며 한의학의 원전이라고 일컬어지는 '황제내경'에 의하면 병을 치료하거나 건강하게 하는 데는 곡식이 제일이라고 했다. 그 이유로 곡식은 사계절의 정기를 모아 결실되었고 다음 해에 싹을 틔울 수 있는 생명력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또 "청색, 적색, 황색, 백색, 흑색의 다섯 가지 색깔이 신맛(酸味), 쓴맛(苦味), 단맛(甘味), 매운맛(辛味), 짠맛(鹹味)의

다섯 가지 맛과 그리고 간장, 심장, 비장, 폐장, 신장의 다섯 가지 장부의 기능과 각각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고

쓰여 있습니다. 한의학의 이론에는 '먹는 음식과 약은 그 근본, 뿌리가 같다'는 말로 먹을거리, 음식이 곧 약이라는 의미인,

'식약동원(食藥同源)'이라는 말이 있다.

곧, 한의학에서는 질병을 치료하고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약만큼이나 섭생, 어떤 음식을 어떻게 섭취하느냐는 문제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데, 이 세상 모든 만물은 고유의 기운, 생명력을 가지고 있는데 좋은 기운, 생명력을 가지고 있는

음식을 섭취하면 그 기가 몸 안으로 함께 들어와 소통이 원활해지고 나쁜 기는 배출해 사람의 생명력도 강해지고 건강해져

장수하게 되고 아름다워진다는 원리.

< 인간의 치아 구조로 보아도 곡식 위주로 식사를 한다. >

동물의 이빨을 보면 재미있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육식동물의 이빨은 뾰족한 송곳니로 되어 있다. 고기를 잘 물어뜯기

위해서이다. 초식동물은 이빨이 네모나게 생겼다. 이것은 풀을 끊고 뜯는 역할을 잘하기 위해서이다. 사람은 사랑니를 빼고 32개의 치아를

 갖고 있다. 그중 네모난 앞니(대문치, 절치)는 약 8개(25%)가 있고 송곳니(견치)는 4개(약12.5%), 그리고 씨앗이나 곡식을

갈아 부수는 역할을 하는 어금니(대구치, 소구치)는 16개(약62.5%)로 이루어져 있다. 치아로 봐도 사람은 채식이나 육식만

 하게 되어 있지 않고 곡식을 주식으로 하고 채소를 반찬으로 그리고 이따금 고기를 곁들여 먹도록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