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두암으로 후두전적출술을 받은 분의 경우에는 목소리를 내는 기관인 후두가 없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성대로 발성하는 대신 다른 방법으로 음성 재활을 하도록 합니다. 후두는 목소리를 내는 기능 뿐만 아니라 그보다 더 중요한 기능은 음식물이 기도를 통해 폐로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를 적출하면 기도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숨쉬는 길을 먹는 길과 분리하기 위해 목에 작은 구멍을 내게한 후, 이를 통해 숨을 내쉬게 되는 것입니다. 목소리를 내려면 진동을 하는 부위가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후두적출을 한 경우 성대의 진동으로 발성을 하는 대신 식도 위쪽에 위치한 괄약근을 떨리게 하여 목소리를 만들 수가 있고, 괄약근이 원활하게 떨지 못하게 되면 기계를 이용하여 진동을 인위적으로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식도발성 (2) 기관식도발성 (3) 전기후두 |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 > 암환자를 위한 작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육병변 (0) | 2008.08.16 |
---|---|
골격계 침범과 관련된 문제 (0) | 2008.08.16 |
간접적인 간암 유발물질, 알코올 (0) | 2008.08.15 |
카레의 노란성분 ‘커큐민’ 심장튼튼, 대장암 예방 (0) | 2008.08.15 |
육식위주 식생활 대장암을 부추긴다! (0) | 2008.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