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혈증 |
고지혈증이란 위험요인 증상 진단 합병증 치료 및 관리 방법
|
혈액 안에 지질 성분(콜레스테롤)이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여 생기는 질환입니다.
지방을 많이 먹는 식생활, 운동부족, 비만, 유전적 요인 등이 관여하며, 당뇨병, 신장질환, 간질환 내분비이상 등에 의해 2차적으로 발생하기도 합니다.
대부분 무증상으로 심장질환이나 뇌졸증, 말초혈관질환 등의 원인질환에 의해 증상이 나타납니다.
고지혈증 검사를 위해서는 8시간 이상 금식한 후 공복시에 채혈을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또한 알코올 성분이 체내에 남아 있는 상태에서 검사를 받으며 올바른 수치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술은 적어도 3일간 마시지 않은 상태에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동맥경화증의 주요원인 중의 하나이며 관상동맥질환(급성심근경색증, 협심증)과 뇌졸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식이요법, 운동, 금연, 절주, 스트레스 완화 등 생활 습관 개선이 중요하며 치료지침에 따라 약물치료가 필요합니다. |
내용출처;질병관리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