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가버섯 관련 글/차가버섯보고서918 차가버섯의 명현현상이 부작용인가요? 명현현상은 증세의 악화 또는 전병(轉病), 합병(合倂)으로 나타나는 부작용의 현상과는 전혀 다른 성질의 것입니다. 명현현상은 한방에서 의사가 환자에게 투약하여 치유되어가는 과정에서 예기치 않게 일시적인 격화 또는 전적으로 다른 증세가 유발되었다가 결과적으로 완쾌되는 것을 일컫는 말입.. 2008. 11. 3. 1등급 차가버섯 증명서 (번역본) 차가버섯은 러시아 중앙정부의 엄격한 관리를 받는 품목으로 차가버섯의수출은 러시아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승인 받지 못한 차가버섯은통관서류에 약용의 '차가버섯'으로 명기 할 수 없습니다. 또한, 러시아 정부는 1960년대부터 10여개의 항목에 이르는 검사기준을 마련하여 공식적으로 등.. 2008. 11. 1. 차가버섯-[일본]일간공업신문 2003년11월16일 일본 일간 공업 신문의 최근 2003년11월18일자 기사 내용입니다. 기사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버섯의 일종 차가에 높은 항산화작용 -------------------------- |스즈시카 의료과학대학이 인증| -------------------------- 항암작용도 스즈시카 의료과학대학의 스즈키 교수 팀은 버섯의 일종인 차가(자작나무에 기생.. 2008. 10. 31. [러시아]약용식물요법 - 의사지침 <표지> S. Ya. 소콜로프 약용식물요법 및 식물약리학 의사용 지침서 의료정보센터 <내용> 이뇨 및 항부종성 식물 자작나무 버섯 차가 우려낸 물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만든다. 버섯을 물에 씻은 후 끓여서 식힌 물에 버섯의 몸통이 잠길 정도로 담가둔다. 그런 다음 4-5시간 동안 달인다. 버섯.. 2008. 10. 31. 차가버섯 - [러시아]약용식물도감 <표지> 약용식물도감 질환 치료 효과가 있는전세계1000종의 식물 추출물과 탕약, 우려낸 물, 연고 등3000개의 처방 약용식물 복용에 따른모든 효능과 금기 <내용> 차가 (부등변 다공균, 자작나무 버섯) Inonotus obliquus(Pers.) Pil.//Fungus betulinus L.Polyoporus obliguus Fr.; 다공균과 [설명] 1. 차가는 나무(주로 .. 2008. 10. 31. 차가버섯 러시아 약초규정 GF-XI-2-63 [러시아중앙정부] 차가(자작나무 버섯)는 일년 내내 채취하여 목질 지꺼기를 제거하고 잘게 분쇄하여 말린 부등변 다공균의 무과실형 옹이로서,학명은 Inonotus obliquus(Pers.) Pil.이고, Hymenochaetaceae과(科)이다. 외형상의 특징 : 순수 원료. 크기 10cm 미만으로 형태가 다양한 조각들이다. 옹이의 바깥 층은 검.. 2008. 10. 31. 이전 1 ··· 132 133 134 135 136 137 138 ··· 1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