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뒤쪽, 오금 부위에 핏줄이 도드라져 보이면 하지정맥류가 아닐까 걱정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정맥류는 다리의 정맥 안에 있는 판막이 손상돼 혈액이 심장으로 올라가지 못하고 역류하면서 정맥이 확장되는 질환이다. 하지만 단순히 다리에 핏줄이 보인다고 해서 모두 하지정맥류는 아니다. 거미줄처럼 가는 실핏줄이 여러 갈래로 얽혀 있거나, 서 있을 때 혈관이 더욱 부풀어 오른다면 의심해볼 수 있다. ◇부기·통증이 대표 증상… 진행하면 혈관 돌출 하지정맥류는 흔히 다리 피부 위로 혈관이 울퉁불퉁 튀어나온 모습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겉으로 혈관이 보이지 않는 경우가 더 많다. 외형적 변화보다 중요한 것은 증상이다. ▲다리에 부종이 생기고 ▲쑤시거나 저린 느낌 ▲화끈거림 ▲야간 경련 등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증상은 누운 상태에서 다리를 심장보다 높게 올리면 줄어들고, 오래 서 있으면 심해진다. 걷고 나서 증상이 오히려 호전되는 경우도 있다면 하지정맥류를 의심할 수 있다. 병이 진행되면 보이지 않던 혈관이 점차 피부 밖으로 튀어나온다. 이는 정맥 안에 염증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혈관벽이 리모델링되면서 울퉁불퉁 튀어나오는 것이다. 하지정맥류는 보통 1기부터 6기까지 단계로 나누며, 2기부터 혈관 돌출이 발생한다. 대부분 환자는 이 시점에서 병원을 찾게 되지만, 경우에 따라 혈관이 돌출되지 않아도 부종이나 궤양 같은 심각한 증상이 먼저 나타나기도 한다. ◇스트레칭, 압박스타킹 착용이 도움 하지정맥류 진단은 과거에는 육안이나 CT(컴퓨터단층촬영)검사를 통해 이뤄졌으나, 요즘에는 초음파 검사로 한다. 특히 도플러 기능이 포함된 초음파를 통해 혈관 내 혈류의 흐름과 방향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방사선이나 조영제에 대한 걱정 없이 시행할 수 있는 점도 장점이다. 치료는 손상된 정맥을 없애거나 기능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정맥을 딱딱하게 경화시키는 주사 요법, 레이저나 고주파 열을 이용해 정맥의 통로를 폐쇄하는 시술, 생체 접착제를 주입해 정맥을 막는 방법 등이 있다. 필요한 경우 문제 정맥을 수술로 제거하기도 한다. 하지정맥류를 예방하려면 생활 습관 개선이 필요하다. 특히 장시간 서 있거나 앉아 있는 직업을 가진 사람은 주기적인 스트레칭과 마사지, 압박스타킹 착용 등이 도움이 된다. 정크푸드처럼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 음식은 피하고, 물을 충분히 섭취하며 채소를 많이 먹는 식습관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예방을 위한 운동도 필요하다. 종아리의 비복근과 가자미근을 강화하는 근육 운동을 꾸준히 실천하면 하지정맥류 예방에 효과적이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5/15/2025051503187.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질병 > 콩팥병,부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학씨부인’ 채서안, ‘이 차’ 마시면 한 시간 뒤 부기 쫙 빠져… 뭘까? (0) | 2025.05.24 |
---|---|
스크랩 ‘샤넬쇼 10년차’ 신현지, 종아리 부기 빼는 팁 공개… 방법은? (0) | 2025.05.24 |
스크랩 “탕웨이 미모 비결?” 집에 ‘이것’ 쟁여둔다는데… 부기 빼는 데 최고라고? (0) | 2025.05.15 |
스크랩 불길한 ‘갈색’ 소변… 빨리 ‘이것’ 안 하면 “콩팥 손상 위험” (0) | 2025.05.11 |
스크랩 소녀시대 수영 “아침엔 ‘이것’부터 한다”… 부기 없앨 때 최고 (0) | 2025.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