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실에서 변기 물을 내릴 때 퍼지는 대장균 등 박테리아 입자가 질병통제예방센터(CDC) 허용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환풍기를 가동하면 이러한 위험을 10분의 1로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8일(현지 시각) 메디컬익스프레스에 따르면, 중국지질과학대 연구진은 공공 화장실에서 변기에 물을 내릴 때 발생하는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등 두 종류의 박테리아의 바이오 에어로졸(생물학적 인자들이 기체적 환경에 미세한 입자로 분산된 상태) 농도가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 정한 허용 수준을 초과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박테리아 입자를 흡입하면 복통, 메스꺼움, 설사, 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와지드 알리 중국 지질과학대학 연구원은 "공공 화장실에서 바이오 에어로졸 노출로 인한 상당한 건강 위험이 있다"고 했다. 연구팀은 중국의 한 사무실 건물 내 두 개의 화장실에서 실험을 했다. 실험 대상은 쪼그려 앉는 변기(화변기)와 비데 변기(양변기)였으며 다양한 세척 조건과 환기 상황에서 바이오 에어로졸의 배출량을 측정했다. 분석 결과, 화변기가 양변기보다 더 많은 박테리아를 배출했다. 황색포도상구균은 42~62%, 대장균은 16~27% 더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또 빈 변기에 물을 내렸을 때보다 대변이 있는 변기의 물을 내렸을 때 황색포도상구균은 25~43%, 대장균은 16~27% 농도가 더 높았다. 가장 주목할 만한 발견은 배기팬(환풍기)을 이용한 환기의 효과라고 연구진은 강조했다. 연구진은 배기팬 가동만으로도 박테리아 입자로 인한 위험을 10분의 1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와지드 알리 연구원은 "배기팬 효율성과 공기 교환율을 최적화해 환기 시스템을 개선하면 바이오 에어로졸 농도와 노출 위험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고 했다. 한편, 화장실 변기 뚜껑을 닫고 물을 내려도 바이러스 입자의 확산을 막기 힘들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미국 애리조나대 환경과학과 연구팀은 물을 내릴 때 변기 뚜껑을 올리든 내리든 똑같은 양의 미세한 바이러스 입자를 발견했다고 최근 미국감염관리학회지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인체에 무해한 여러 바이러스 입자를 변기에 뿌리고 물을 내린 후 1분 후 변기와 화장실 근처 표면의 오염도를 측정했다. 연구 결과, 뚜껑을 열고 물을 내렸을 때와 뚜껑을 닫고 물을 내렸을 때의 바이러스 오염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중국지질과학대 연구 결과는 최근 국제 학술지 '위험 분석(Risk Analysis)'에 실렸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2/19/2025021901395.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교류의 장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국인 수면 시간, 전세계 ‘네 번째’로 짧아… ‘이만큼’ 자면 평균 이하 (0) | 2025.02.24 |
---|---|
스크랩 출퇴근길 매일 이어폰 끼세요? 청각·뇌 손상 위험↑ (0) | 2025.02.23 |
스크랩 스트레스 누적, ‘이 감각’ 상실시킨다 (0) | 2025.02.23 |
스크랩 ‘情의 국가’ 어디에… ‘교류’ 끊어진 대한민국, 개인은 병들어 간다 (0) | 2025.02.19 |
스크랩 건강 챙기려 산 스마트워치, ‘집착’ 불러 일으킬 수도 (0) | 2025.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