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질량지수(BMI)보다 더 효율적으로 ‘비만’을 진단하는 도구가 필요하다는 전 세계 전문가 집단의 권고가 나왔다. 체질량지수는 체중(kg)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선 체질량지수가 25를 넘어가면 비만이라 진단한다. 그러나 체질량지수는 개인의 지방분포나 신체 기능장애 여부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임수 교수 등 전 세계 58명의 전문가가 참여한 란셋 당뇨병·내분비학 위원회는 11일, 기존 체질량지수 중심 평가 방식에서 벗어나 장기 및 조직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포괄적 진단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런 내용을 ‘란셋 당뇨병·내분비학 저널’에 최근 발표했다. 그동안 비만은 단순히 과체중 상태로 간주되거나, 당뇨병이나 심혈관 질환 등의 위험 요인으로만 인식돼 왔다. 하지만 위원회는 비만을 ‘과도한 체지방량으로 인해 신체 기관의 기능이 비정상적으로 저하되는 만성적이고 전신적인 질병 상태’로 정의했다. 비만 자체가 신체 기관과 조직에 손상을 일으키는 만성적이고 전신적인 질병으로 심장마비, 뇌졸중, 심부전 등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비만을 ‘임상적 비만병(Clinical Obesity)’과 ‘임상적 비만병 전단계(Preclinical Obesity)’로 구분해 각각에 맞는 치료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임상적 비만병은 과도한 체지방으로 인해 심장마비, 뇌졸중, 신부전 등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임상적 비만병 전단계는 아직 장기 기능은 정상이나 당뇨병, 심혈관질환 등의 발병 위험이 높은 상태를 말한다. 체지방량 증가에 따른 사망 위험과 비만 관련 질환 위험은 연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지만, 임상적 및 정책적 목적을 위해 구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체질량지수는 인구 집단 수준의 건강 위험 평가나 선별검사 도구 용도로만 사용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개인별 진단에는 체지방을 직접 측정하거나 체질량지수 외에 추가적인 신체 측정방법(허리둘레, 허리-엉덩이 비율, 허리-키 비율 등)을 병행해야 한다. 다만, 체질량지수가 40 이상으로 높을 경우에는 과도한 체지방량이 분명하므로 추가적인 검사는 필요하지 않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임상적 비만병 진단을 위한 구체적인 기준도 제시했다. ▲비만으로 인해 중요 장기의 기능 감소 증거 ▲비만으로 인해 신체활동이나 일상생활의 기본 활동(목욕, 옷 입기, 화장실 사용, 자가 배변, 자가 식사) 제한 중 하나라도 있으면 임상적 비만병으로 진단할 수 있다. 위원회에 따르면 임상적 비만병 전단계에 있는 사람들도 건강 상담, 건강 상태 모니터링을 비롯해 비만병 발병 위험을 낮추기 위한 적합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임수 교수는 “비만을 개인의 책임으로만 돌리는 편견과 낙인이 효과적인 비만병 예방과 치료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라며 “과학적 증거에 기반한 공중보건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2/11/2025021102752.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질병 > 비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먹으면 살 빠진다” 성시경, 다이어트 중 ‘이 음식’ 추천… 뭔가 봤더니? (0) | 2025.02.19 |
---|---|
스크랩 ‘초고도 비만’ 신기루, 방송서 검사 중 심각한 ‘이 증상’ 발견… 뭐였나? (0) | 2025.02.18 |
스크랩 추위 가기 전이 다이어트 적기! ‘여기’서 30분만 운동해 보세요 (0) | 2025.02.13 |
스크랩 “3분간 심장 멈춰, 충격”… 살기 위해 40kg 감량 ‘몸짱’ 됐다, 방법은? (0) | 2025.02.13 |
스크랩 팔다리 말라도 ‘이런 체형’이면 비만보다 치매 위험 커 (0)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