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 치료를 받는 췌장암 환자는 '근육량'을 보존해야, 치료 예후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방사선종양학과 유정일 교수, 영상의학과 민지혜 교수 연구팀은 췌장암 환자의 항암화학요법 후 골격근 지수 변화가 췌장암 치료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2015년부터 2020년 사이 경계성 절제 가능 췌장암과 국소 진행성 췌장암을 진단받고, 네 차례 이상 선행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 227명을 대상으로 치료 결과를 분석했다. 환자의 평균 나이는 60세였고, 종양 크기 중앙값은 3.1cm였다. 종양 위치는 췌장의 머리·목 부위가 65.2%로 가장 많았다. 분석 기간 환자의 1년 전체 생존율은 87.1%, 2년 생존율은 50.7%였다. 무진행 생존율 중앙값은 13.4개월이었다. 연구팀은 골격근 지수 변화와 췌장암 종양표지자 CA 19-9를 기준으로 ▲근육이 보존됐고, 종양표지자가 확인되지 않은 그룹(A) ▲골격근 지수가 급감했거나, 종양표지자가 확인된 그룹(B) ▲골격근 지수가 급감했고, 종양표지자도 확인된 그룹(C)으로 분류해 예후를 조사했다. 췌장암 종양표지자 CA 19-9는 췌장암이 있을 때 혈액 속에서 주로 증가하는 항원으로, 치료 후 재발 여부를 확인하는 데 유용하다. 분석 결과, 항암요법 전후 골격근 감소가 큰 환자일수록 췌장암 재발이 흔하고, 사망 가능성이 컸다. 동시에 항암화학요법에도 암세포 활동성이 여전히 높은 환자는 예후가 더 안 좋았다. 연구팀은 연구 결과에 따라, 그룹별로 다른 치료를 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 A 그룹에서는 기존 치료 전략을 유지하는 게 낫고, B그룹은 근 감소가 더 진행되지 않도록 고단백 영양을 보충하고 체력 회복을 위한 저강도 신체 활동 등을 치료와 병행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C그룹은 위험 요인이 복합적이므로, 다학제 치료가 환자에게 유리하다고 봤다. 유정일 교수는 “아직 난치성으로 남아있는 췌장암 환자들에서 골격근 지수 변화율을 치료 과정에 포함하면, 개별 환자에게 더 적합한 맞춤형 치료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지혜 교수는 “췌장암 환자의 치료 과정에서 근감소증의 변화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치료 효과를 정밀하게 평가하고 개별 환자에게 최적의 치료 시기를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는 것을 이번 연구로 입증했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악액질·근감소·근육 저널(Journal of Cachexia, Sarcopenia and Muscle)’ 최근호에 게재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2/04/2025020402523.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종류별 암 > 췌장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누구보다 건강했는데, ‘이곳’ 통증 느끼고 사망”… 50대 女 뒤늦게 ‘췌장암’ 말기 판정 (0) | 2025.02.10 |
---|---|
스크랩 항암제 내성 생긴 췌장암, ‘빛’ 쪼이니 사멸했다 (0) | 2025.01.22 |
스크랩 “소화불량인 줄…” 알고 보니 ‘췌장암’이었던 43세 女, 증상 뭐였을까? (0) | 2025.01.17 |
스크랩 고용량의 비타민C, 췌장암 치료 효과 높인다 (0) | 2024.12.17 |
스크랩 혈액 검사 땐 “깨끗하다”했는데… 별안간 ‘췌장암 말기’ 선고 받은 50대 男, 증상은? (0) | 2024.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