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영국 40대 여성이 소화불량 증상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다가 식도암을 진단받은 사연이 전해졌다. 지난 3일(현지시각) 영국 더 선 등 외신에 따르면 레이첼 엣지(40)는 17세 때 바렛식도를 진단받았다. 바렛식도는 위와 연결되는 식도 끝부분의 점막이 지속적인 위산의 역류로 오랜 시간 위산에 노출됨으로써 식도 조직이 위 조직으로 변한 상태를 말한다. 식도암 발생 원인 중 하나여서 엣지는 2년마다 내시경 검사를 받아야 했다. 20년 정도 지났을 때 그는 속쓰림과 가슴 통증, 입안의 쓴맛 등을 겪었지만 단순 소화불량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38세에 검사받았을 때 엣지의 식도에는 1.7cm 크기의 종양이 발견됐고 그는 식도암을 진단받았다. 의료진은 수술과 항암화학요법을 통해 종양을 제거했다. 현재 그는 다시 일할 만큼 회복했지만, 여전히 상당한 통증과 피로를 겪고 있다고 전했다. 엣지는 "제때 치료받지 못했다면 나는 18개월 안에 죽었을 것이다"라며 "암이 초기에 발견돼 행운이다"라고 말했다. 엣지가 겪은 식도암은 식도에 생긴 암을 말한다. 식도는 인두와 위를 연결하는 기관으로 우리가 음식물을 섭취할 때 음식물이 위장으로 넘어가는 통로다. 식도암이 발병하면 음식을 삼키기 어렵거나 삼킬 때 발생하는 통증이 발생한다. 식도암이 점차 진행해 식도 내강이 좁아짐에 따라 이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크기가 큰 음식을 먹을 때 걸리는 느낌이 나거나 엣지처럼 앞가슴이나 등 쪽에 통증을 느낄 수 있다. 드물지만 엣지처럼 입에서 쓴맛이 나거나 속이 쓰릴 수 있다. 다만, 식도는 잘 늘어나는 성질이 있어 크기가 작은 식도암일 땐 특별한 증상이 없을 수 있다. 증상이 발현됐다면 이미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다. 식도암의 위험요인으로는 ▲고령 ▲과음 ▲과도한 탄수화물 섭취 ▲동물성 단백질·채소·과일 부족 ▲비타민A, C, E, 나이아신 부족 ▲불에 탄 음식(니토로사민과 같은 발암 물질) 섭취 등이 있다. 특히 음주와 흡연을 같이 하게 되면 암 발생률이 더 높아진다. 이외에도 전암성 병변(다른 상태보다도 고빈도로 암이 되기 쉬운 병변)이 있으면 식도암 발병 위험이 커진다. 특히 엣지처럼 바렛식도를 진단받았거나 플러머-빈슨 증후군(철분이나 비타민이 부족해 구강이나 인두, 식도의 점막에 위축이 오는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가 그렇다. 2022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국내 식도암 발생은 전체 암 발생의 1.1%를 차지해 다른 암에 비해 흔하지 않은 편이다. 그런데, 식도암은 한 번 생기면 5년 생존율이 50% 정도로 낮아 치명적이다. 식도암은 주로 60대 이상의 남자에게 많이 발생하며, 술·담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식도암이 발현되는 위치에 따라서 경부식도암, 흉부식도암, 위-식도 연결부위 암으로 나눌 수 있다. 암의 조직형에 따라 분리되기도 한다. ▲편평상피세포암(표피의 각질 형성 세포에서 유래한 악성 종양) ▲선암(선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에서 발생하는 암) ▲평활근육종(내장의 벽을 구성하는 근육에 생기는 악성 종양) ▲횡문근육종(횡문 근육 세포에 종양이 발생하는 질) ▲림프종(우리 몸의 면역체계를 구성하는 림프계에 발생하는 종양) ▲흑색종(멜라닌 색소를 생산하는 멜라닌 세포로부터 유래된 암종) 등으로 나뉜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 국가들에서는 편평상피세포암이 많으며, 북아메리카나 유럽에서는 선암의 발생 빈도가 높다. 식도암은 주로 건강 검진 시에 시행하는 내시경 등의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된다. 이외에도 흉부·복부전산화단층촬영이나 전신 뼈 스캔 등의 방법으로도 식도암을 진단할 수 있다. 여러 가지 검사를 시행한 후 환자의 상태에 따라 치료 방법을 결정한다. 현재 식도암을 치료하는 방법은 크게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화학요법 등이 있다. 식도암은 보통 수술로 병변을 절제해 치료한다. 다만, 외과적 절제가 불가능한 경우엔 방사선 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다. 식도암을 예방하기 위해선 생활 습관 개선이 중요하다. 대표적으로 ▲금주 ▲금연 ▲균형 잡힌 식생활 ▲질산염이 많이 포함된 음식(탄 음식이나 가공된 햄이나 소시지)을 피하기 등이 필요하다. 만약 위-식도 역류나 바렛식도와 같은 질환으로 진단받았다면 적절한 치료를 받고 정기적으로 검사하는 것이 식도암의 예방·조기 발견에 큰 도움이 된다. 흡연이나 음주를 많이 한 55세 이상이라면 최소한 1년에 한 번 이상은 내시경을 해보는 것을 권장한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2/04/2025020402268.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종류별 암 > 기타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새로운 백혈병 치료 전략 유효, 급여 확대와 추가 연구 필요” (0) | 2025.02.10 |
---|---|
스크랩 “목감기 아닌 ‘식도암’”… 종양학자가 강조한 의심 증상 6가지, 뭘까? (0) | 2025.02.09 |
스크랩 “몸 가렵고, 피곤해하더니”… 10대 소녀 ‘이 암’ 말기 판정, 그 밖의 의심 증상은? (0) | 2025.02.06 |
스크랩 "엉덩이에 생긴 지 20년 됐는데"… 점점 커지고 가렵더니, 치명적인 '암' 이었다? (0) | 2025.02.02 |
스크랩 “의사는 계속 아니랬는데”… 결국 1년 뒤 ‘후두암 4기’ 진단, 어떻게 된 일? (0)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