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건강상식/일반 건강상식

스크랩 부딪힌 적 없는데 시퍼렇게 멍든 발톱… 치명적인 '이 질환'일 수도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5. 2. 4.

 
클립아트코리아
멍이 특정 질환의 신호일 수 있다.

멍은 부딪히거나 넘어졌을 때 혈관 안에 있어야 하는 적혈구가 외부 충격 등에 의해 혈관 밖으로 빠져 나와 피부 아래에 뭉쳐서 생긴다. 외부 충격이 없었는데 멍이 2주 이상 지속되면, 다른 원인을 의심해야 한다.

특히 멍이 발톱 아래에 검붉게 생겼거나 오래도록 없어지지 않는다면 흑색종이나 혈관염 등이 질환이 원인일 수 있다. 멍으로 의심할 수 있는 질환에 대해 알아본다.

간기능 저하
지혈은 혈액 속 혈소판과 간에서 생성되는 혈액응고인자가 담당한다. 간 기능이 떨어지면 혈액응고인자가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작은 충격에도 멍이 넓게 생긴다. 멍과 함께 잇몸 출혈이 동반되는 특징이 있다. 이때는 병원에서 간기능 검사 등을 받아야 한다.

혈관염
혈관염은 면역계 이상으로 혈관벽에 염증이 생겨서 발생한다. 혈관벽에 염증이 생기면 몸 곳곳에 여러 개의 붉거나 보라색의 멍이 다발적으로 나타난다. 피부과에서 혈액·조직검사를 받아서 혈관염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혈액응고장애
혈액 속에 혈소판 등이 모자라거나 기능에 이상이 있어도 쉽게 멍이 생긴다. 평소 붉은 멍이 잘 생기고, 코피까지 잦다면 혈액응고장애를 의심해야한다. 이 경우 백혈병의 전조 증상일 수도 있어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흑색종
흑색종은 피부 속 멜라닌 세포가 암세포로 변해 생긴 피부암이다. 보통 흑색종은 가슴·다리에 생기는데, 일부는 발톱에 멍처럼 나타난다. 오래 걷지도 않았고 발이 찌인 것도 아닌데 발톱 아래에 검붉은 반점이 생겨 없어지지 않는다면 흑색종을 의심할 수 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1/31/2025013101720.html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