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시간 질 높은 잠을 못 잔다면, 아무리 비싸고 피부에 좋은 성분의 화장품을 발라도 큰 효과를 보기 어렵다. 수면 부족은 피부를 망치는 지름길이기 때문이다. 잠을 못 자면 여러 호르몬 분비가 교란되는데, 이 호르몬들은 피부를 보호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한다. 수면을 유도하는 호르몬인 멜라토닌은 피부 세포를 회복시킨다. 세포 노화를 촉진하는 활성 산소를 줄이고, 검버섯 등으로 이어지는 색소세포 기능을 떨어뜨려 피부를 뽀얗게 유지한다.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은 잠을 제대로 못 자면 활성화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리티솔 수치를 높인다. 코르티솔은 피부를 건조하게 하고, 엘라스틴·콜라겐 등을 분해해 주름이 생기는 것을 촉진한다. 세포 재생을 돕는 성장 호르몬도 수면 중 분비 능력이 최고조에 달하는데, 잠을 못 자면 이 효과를 볼 수 없다. 성장 호르몬은 피부 세포를 재생할 뿐만 아니라, 체내 보습 물질인 히알루론산이 피부에서 물 분자를 끌어올 수 있도록 돕는다. 피부 자체도 자는 동안 스스로 정화한다. 노폐물을 배출하고, 탄력을 유지하는 콜라겐·엘라스틴 등을 합성한다. 잠을 못 자 생체리듬이 깨지면 면역력이 약화하면서 여드름 등 피부 트러블이 생길 위험은 커진다. 실제로 6000명 이상의 수면 습관을 추적한 미국 연구팀 연구에서, 수면 패턴이 일정하지 않은 사람은 일정한 사람보다 빠른 노화로 생물학적 연령이 더 높았다. 노화한 피부 세포는 주변 세포 노화를 촉진할 뿐 아니라, 인지 기능까지 떨어뜨린다. 중앙대병원 피부과 홍지연 교수는 이전 헬스조선과의 인터뷰에서 "노화된 세포가 전반적으로 축적되면 각질층 형성이 잘 안돼 더 많은 사이토카인 등 염증 물질을 만들어낸다"며 "이 물질이 혈액을 타고 뇌로 이동해 가벼운 염증 반응을 유발하고 다른 곳에서도 노화 현상을 촉진할 수 있다"고 했다. 미국 캘리포니아대 샌프란시스코 캠퍼스 피부과 마오치앙 맨 교수 연구팀에서 피부가 건조한 그룹과 건조하지 않은 그룹을 비교했더니, 건조한 그룹이 혈액 속 염증 물질 농도가 더 높았고, 인지 기능 저하 속도도 더 빨랐다. 잠을 잘 자고, 피부 관리도 열심히 하는데 지속해서 피부가 건조하거나 트러블이 난다면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등 수면 장애가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해 봐야 한다. 수면 장애가 있는 사람은 구강 호흡을 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데, 이때 입을 통해 이물질과 세균이 체내로 들어와 면역력이 저하돼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다. 또 산소포화도가 떨어져 혈액순환이 안되면, 피부조직과 연결된 모세혈관까지 충분한 영양분이 전달되지 못할 수 있다. 신진대사도 떨어져 피부 노폐물이 잘 배출되지 못한다. 수면의 질을 높이려면, 먼저 7~9시간을 잘 수 있는 수면 시간을 정해야 한다. 정한 시간에 자고, 깨는 생활 패턴을 만든다. 잠이 들 때는 블루라이트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기분 좋은 서늘한 환경을 조성한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1/21/2025012102640.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교류의 장 > 쉬어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필러도 아닌 ‘이 시술’ 받고 입술 퉁퉁”… 무서울 정도였다, 왜 이런 일이? (0) | 2025.01.28 |
---|---|
스크랩 혼자만의 시간 보낼 때, ‘미디어’ 사용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 (0) | 2025.01.24 |
스크랩 “부작용으로 우울증 겪었지만, 또 수술 계획”… 성형에 8800만원 쓴 여성, 이유는? (0) | 2025.01.23 |
스크랩 집에 있으면 계속 먹는 나… 평소 ‘이것’ 부족하단 신호? (0) | 2025.01.23 |
스크랩 “귀 크게 만들어, 얼굴 작아 보이게”… 미국서 ‘이곳’ 필러주사 인기, 부작용은? (0) | 2025.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