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류별 암/기타암

스크랩 "기적적으로 모두 소멸"… '이곳' 6cm 암 생겼던 여성 완치 판정, 어떻게 된 일?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5. 1. 21.

[해외토픽]
 
셰릴 브랜든(51)은 소화불량과 인후통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다가 식도암을 진단받았다. 건강했던 시절 브랜든의 모습과 암 치료 후 모습./사진=더 선
영국 50대 여성이 소화불량과 인후통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다가 식도암을 진단받았지만, 기적적으로 완치 판정을 사연이 전해졌다.

지난 15일(현지시각) 영국 더 선 등 외신에 따르면 셰릴 브랜든(51)은 2022년 4월부터 소화불량을 겪어 병원을 방문해 제산제(위 산도를 중화시키고 속쓰림, 소화불량, 배탈을 완화하는 약)를 처방받았다. 이후 일시적으로 소화불량 증상이 완화했지만, 다시 상태가 악화했다. 브랜든은 “6개월 후부터 목이 답답해지는 느낌이 들기 시작했다”며 “증상이 심각하진 않았고 체한 느낌에 가까웠다”고 말했다. 그는 음식을 삼키는 게 점점 더 어려워졌지만, 남들도 흔히 겪는 고통일 것이라며 대수롭지 않게 넘겼다. 그는 “시간이 지나면서 일주일에 한 번씩 음식 먹다 질식했다”며 “가슴 통증과 인후통도 동시에 앓았다”고 말했다. 이상함을 느낀 브랜든은 내시경 검사를 예약했고, 그 결과 식도에서 6cm 크기의 종양이 발견됐다. 의료진은 식도암을 진단했으며, 수술이 어려워 살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했다. 브랜든은 “나는 식도암에 대해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다”며 “영국인들은 식도암에 대해 잘 모른다”고 말했다. 그는 곧바로 항암화학요법을 받기 시작했고, 이에 대한 부작용으로 급격한 체중 감소, 자율신경계 손상으로 인한 탈수 증상 등을 겪었다. 그런데, 의료진의 예상과 달리 항암화학요법은 효과를 보였고 기적적으로 암세포가 전부 사라졌다는 검사 결과가 나왔다. 브랜든은 "처음엔 의료진도 다른 환자의 검사 결과와 뒤바뀐 줄 알았다"며 "나도 처음엔 그렇게 생각했는데 결국 내 스캔 결과가 맞았고, 암세포가 하나도 발견되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완치 판정을 받았지만, 그는 앞으로도 6개월마다 정기 검진을 받을 예정이다. 현재 브랜든은 자신의 투병 생활을 공유하며 식도암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운동을 펼치고 있다.

셰릴 브랜든이 겪은 식도암은 식도에 생긴 암을 말한다. 식도는 인두와 위를 연결하는 기관으로 우리가 음식물을 섭취할 때 음식물이 위장으로 넘어가는 통로다. 식도암이 발병하면 브랜든처럼 음식을 삼키기 어렵거나 삼킬 때 발생하는 통증이 발생한다. 식도암이 점차 진행해 식도 내강이 좁아짐에 따라 이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브랜든처럼 크기가 큰 음식을 먹을 때 걸리는 느낌이 나거나 앞가슴이나 등 쪽에 통증을 느낄 수 있다. 다만, 식도는 잘 늘어나는 성질이 있어 크기가 작은 식도암일 땐 특별한 증상이 없을 수 있다. 증상이 발현됐다면 이미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다.

식도암의 위험요인으로는 ▲고령 ▲과음 ▲과도한 탄수화물 섭취 ▲동물성 단백질·채소·과일 부족 ▲비타민A, C, E, 나이아신 부족 ▲불에 탄 음식(니토로사민과 같은 발암 물질) 등이 있다. 특히 음주와 흡연을 같이 하게 되면 암 발생률이 더 높아진다. 이외에도 전암성 병변(다른 상태보다도 고빈도로 암이 되기 쉬운 병변)이 있으면 식도암 발병 위험이 커진다. 플러머-빈슨 증후군(철분이나 비타민이 부족해 구강이나 인두, 식도의 점막에 위축이 오는 질환), 바렛식도(장기적인 위-식도 역류에 의해 위-식도 접합부의 직상부 식도 점막에 장형 점막으로의 변화를 보이는 상태) 등의 질환이 있다.

2022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국내 식도암 발생은 전체 암 발생의 1.1%를 차지해 다른 암에 비해 흔하지 않은 편이다. 그런데, 식도암은 한 번 생기면 5년 생존율이 50% 정도로 낮아 치명적이다. 식도암은 주로 60대 이상의 남자에게 많이 발생하며, 술과 담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식도암이 발현되는 위치에 따라서 경부식도암, 흉부식도암, 위-식도 연결부위 암으로 나눌 수 있다. 암의 조직형에 따라 분리되기도 한다. ▲편평상피세포암(표피의 각질 형성 세포에서 유래한 악성 종양) ▲선암(선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에서 발생하는 암) ▲평활근 육종(내장의 벽을 구성하는 근육에 생기는 악성 종양) ▲횡문근 육종(횡문 근육 세포에 종양이 발생하는 질) ▲림프종(우리 몸의 면역체계를 구성하는 림프계에 발생하는 종양) ▲흑색종(멜라닌 색소를 생산하는 멜라닌 세포로부터 유래된 암종) 등으로 나뉜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 국가들에서는 편평상피세포암이 많으며, 북아메리카나 유럽에서는 선암의 발생 빈도가 높다.

식도암은 주로 건강 검진 시에 시행하는 내시경 등의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된다. 이외에도 흉부·복부전산화단층촬영이나 전신 뼈 스캔 등의 방법으로도 식도암을 진단할 수 있다. 여러 가지 검사를 시행한 후 환자의 상태에 따라 치료 방법을 결정한다. 현재 식도암을 치료하는 방법은 크게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화학요법 등이 있다. 식도암은 보통 수술로 병변을 절제해 치료한다. 다만, 브랜든처럼 외과적 절제가 불가능한 경우엔 방사선 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다.

식도암을 예방하기 위해선 생활 습관 개선이 중요하다. 대표적으로 ▲금주 ▲금연 ▲균형 잡힌 식생활 ▲질산염이 많이 포함된 음식(탄 음식이나 가공된 햄이나 소시지)을 피하기 등이 필요하다. 만약 위-식도 역류나 바렛식도와 같은 질환으로 진단받았다면 적절한 치료를 받고 정기적으로 검사하는 것이 식도암의 예방·조기 발견에 큰 도움이 된다. 흡연이나 음주를 많이 한 55세 이상이라면 최소한 1년에 한 번 이상은 내시경을 해보는 것을 권장한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1/17/2025011701566.html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