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CG 서용성 대표 인터뷰 전 세계 사망 원인 1위는 심장질환이다. 심장질환의 절반 이상(56%)은 심장 혈관이 막혀 혈액 공급이 제대로 안 되는 '허혈성 심장질환'이다. 허혈성 심장질환은 빠른 진단이 관건이다. 병원에서는 심전도, 심초음파, 심장CT, 관상동맥조영술 등을 하지만 심전도·심초음파는 진단 정확도가 떨어지고, CT는 방사선·조영제 노출 부담이 있으며, 관상동맥조영술은 손목이나 허벅지 혈관을 뚫어 심장까지 도관을 삽입해야 해 신체 부담이 컸다. 최근 정확도는 높고, 비침습적인 '심자도(MCG) 스캔' 장비가 개발돼 주목받고 있다. 개발사인 AMCG는 2021년에 설립된 스타트업으로, 약 200억(시리즈A·시리즈B) 투자를 받았으며 지난 12월에는 코넥스 상장을 했다. AMCG 서용성 대표를 만났다. -심자도(MCG) 스캔이란? 심장이 수축과 이완을 하면 심장근육 세포에서는 미세한 자기장이 나온다. 이를 심자도라고 한다. 심장 혈관에 문제가 생겨 혈액 흐름이 원활치 않으면 심장 근육이 망가지면서 심자도에 미세한 변화가 생긴다. 이 변화를 '스퀴드(SQUID) 센서'로 스캔, 심장 전 영역의 자기장맵과 전류 패턴을 획득하고 정상인과의 '패턴 차이'를 가지고 진단을 한다. 패턴 차이는 시각화해 색으로 확인할 수 있다. 우리 회사가 보유한 스퀴드 센서는 지구 자기장 100억 분의 1 수준의 초미세 자기 신호도 측정이 가능하다. 우리가 개발한 심자도 스캔 'MCG-S' 는 2022년에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품목 허가를 받았고, 2024년에는 미국 FDA로부터 510K 등급(시판전허가) 승인을 받았다. -어떤 심장질환을 진단할 수 있나? 협심증 같은 허혈성 심장질환이 대표적이다. 현재 가천대 길병원, 가톨릭대 은평성모병원, 서울성모병원에서 관련 임상시험을 하고 있다. 임상시험은 협심증 환자의 관상동맥조영술 결과와 심자도 스캔의 결과를 비교, 유효성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진행한다. 식약처로부터 허가를 받았기 때문에 시판 후 임상시험에 해당한다. 부정맥 조기진단에도 유용하다. 부정맥의 경우 심전도 검사의 정확도가 56%인 반면 심자도 스캔은 94%다. -허혈성 심장질환의 확진 검사인 '관상동맥조영술' 전에 해볼 만하다? 관상동맥조영술은 심장혈관까지 도관을 삽입, 막힌 부위에 방사선 조영제를 주입해 관상동맥의 모양을 살펴보는 검사다. 관상동맥이 막힌 것이 확인되면 바로 심장 스텐트를 삽입해 막힌 혈관을 넓히는 치료까지 진행한다. 그런데 관상동맥조영술을 시행한 사람의 35%만이 심장 스텐트를 한다. 나머지는 굳이 신체 부담이 있는 관상동맥조영술을 하지 않아도 됐던 것. 관상동맥조영술을 하기 전에 심장 CT를 흔히 찍는데, CT를 찍으려면 15초간 숨을 참아야 해 고령에서는 검사가 어려운 경우가 꽤 많다. 심자도 스캔의 경우 허혈성 심장질환 진단에 있어 민감도와 특이도가 각각 90.5%, 92.3%로 높고, 비침습적이며 검사 시간도 2∼3분밖에 안 걸려 관상동맥조영술 전에 해볼 만하다. -AMCG 심자도 스캔만의 장점은? 심자도 스캔은 미국에서 혁신의료기기(제네티시스 社 제품)로 인정을 받는 등 최근 주목받는 장비다. 우리 회사 심자도 스캔은 세계 최초 96채널 시스템으로 측정 면적이 늘어나면서 1회 검사로 심장 전체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스퀴드 센서가 잘 작동하기 위해서는 영하 270도의 냉각 과정이 필요한데, 이때 헬륨이 쓰인다. 헬륨은 고가의 물질이라, 우리 회사에서는 헬륨이 기화되는 것을 다시 액화시켜 재사용하는 재액화 시스템을 개발, 연간 7억 이상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했다. 센서의 민감도나 장비의 경제성 측면에서 우위에 있기 때문에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앞으로의 계획은? 올해는 신의료기술평가를 신청하고2026년에는 급여 또는 비급여를 신청, 병원에서 쉽게 심자도 스캔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건강검진센터 등 시장 확대를 위해 2026년 슬림형 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우리 회사는 코넥스 상장을 준비하면서 경영 투명성이 높아졌다. 앞으로 회사가 세운 목표를 달성하고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게 운영, 직원이 하나된 마음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2027년 코스닥 이전 상장이 목표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1/07/2025010701669.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병원 치료 > 방사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표적 세포만 공격… 난치성 질환 새로운 선택지에 '방사성 의약품' 주목 (0) | 2025.01.17 |
---|---|
스크랩 표적 세포만 공격… 난치성 질환 새로운 선택지에 '방사성 의약품' 주목 (0) | 2025.01.15 |
스크랩 대한의원협회 “방사선촬영료허위청구고발된회원들 모두무혐의처분 받아” (0) | 2024.11.28 |
스크랩 서울대학교병원, 방사선 암 치료 선형가속기 설치 (0) | 2024.11.15 |
스크랩 대형 언어 모델 활용해 방사선치료 계획 정확도 향상 (0) | 2024.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