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가을 산의 묘미를 놓치지 않기 위해 주말 등산을 결심했다면, 과일과 함께 꼭 쓰레기봉투도 챙기자. 과일 껍질은 썩어서 나무에 좋은 거름이 될 거라 예단하고 아무 데나 버리는 사람이 많은데,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행동이다. 과일 껍질을 그대로 버리면 거름이 되지 않는다. 시간이 지나 유기물에 의해 부패해 음식물이 분해돼도, 식물이 직접 활용할 수 없는 탄소와 산소만 남는다. 부패한 음식물은 악취를 유발하고 해충에게 서식지를 제공해 주변 경관만 저해한다. 과일 껍질에 묻어있는 방부제, 잔류 농약 등이 생태계를 교란할 수도 있다. 국립공원공단에서는 다람쥐 등 소형 동물이나 어린 동물은 소량의 화학 성분이라도 체내에 농축되면 생식 기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밝혔다. 먹이사슬을 타고 2, 3차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야생 동물의 식습관에도 안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로 활용하려면 몇 가지 공정을 거처야 한다. 선별, 분쇄, 양생, 건조 등 2~3개월에 걸친 과정을 거쳐야,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염류, 미량원소 등을 포함한 퇴비가 된다. 과일을 먹을 때 사용하는 나무젓가락도 산에 버리면 안 된다. 방부제 처리가 돼 있어 썩지 않는다. 과일 외에 등산 중 흔히 먹는 식품으로 컵라면이 있는데, 먹고 남은 국물을 산에 버리는 것도 주의해야 한다. 나트륨 함량이 높은 국물을 토양에 버리면, 저농도에서 고농도로 이동하는 삼투압 현상으로 인해 식물체 속 수분이 토양으로 이동해 식물이 마를 수 있다. 한편, 과일 자체는 등산할 때 들고 가면 좋은 간식이다. 등산 중에는 땀을 많이 흘려 체수분, 나트륨 등이 소모돼 탈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과일에는 수분과 비타민, 무기질 등이 풍부해, 등산 중 섭취하면 탈수 증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 등산은 고강도 운동이라 혈류가 근육에 몰리며 소화가 어려울 수 있는데, 과일은 칼로리가 낮아 컵라면 등 흔히 먹는 등산 음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9/27/2024092701758.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교류의 장 > 여행을 떠나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홀로 한라산 등반 30대 女, 쓰러졌지만 가까스로 구조… 사고 원인은? (0) | 2024.10.06 |
---|---|
스크랩 캠핑만 갔다 하면 ‘고칼로리’ 섭취… 건강한 특별식 없을까? (0) | 2024.10.05 |
스크랩 "피부 건강 위해"… 마마무 문별, 해외 갈 때 꼭 챙기는 것은? (0) | 2024.09.27 |
스크랩 "몸무게 인증"… 이시영 추석 연휴에도 '이 운동' 삼매경, '리지 등반' 뭘까? (0) | 2024.09.21 |
스크랩 수목원 산책 어때요? 연휴 때 ‘무료 개방’하는 국립수목원 세 곳 (0) | 2024.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