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류의 장/쉬어가기

스크랩 강아지 여러 마리 키우는데… 한 마리 아플 때 ‘전염’ 막으려면? [멍멍냥냥]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4. 9. 22.

 
반려동물 간 병이 전파되는 것을 막으려면 아픈 개체를 격리하거나 병원에 입원시켜야 한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개와 고양이를 여럿 기르는 가정이 많다. 시장조사업체 유로모니터의 2023년 조사 결과에 따르면, 반려동물 양육 가구는 개 평균 1.25마리, 고양이 평균 1.63마리를 기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 마리만 기르는 집이 있는가 하면 2~4마리를 기르는 집도 있다는 의미다. 개와 고양이를 여럿 기르는 집에선 동물들 간에 전염병이 돌 위험도 커진다. 일부 동물에게 전염성이 강한 질환이 생겼다면, 보호자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장염·호흡기 질환·피부사상균 잘 옮아

개와 고양이는 자주 걸리는 질환이 다르다. 이에 다견·다묘 가정에서 특히 전파에 주의해야 하는 질환도 차이가 있다. 스카이동물메디컬센터 인천점 문종선 원장에 따르면 개는 ▲개파보바이러스(CPV) 감염증 ▲디스템퍼 ▲진드기 등 외부기생충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개파보바이러스에 감염된 개는 출혈성 장염을 앓는다. 설사로 시작해 혈변이 나오고, 구토·식욕부진·고열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일명 ‘개 홍역’이라도 하는 디스템퍼는 기침·콧물·폐렴에 구토·설사 등이 동반될 수 있다. 디스템퍼 바이러스가 신경에 침입해 뇌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진드기 등 외부기생충은 개의 털과 피부에 기생하며 가려움과 탈모를 유발한다.

고양이가 잘 걸리는 질환 중에서는 ▲범백혈구감소증 ▲허피스 ▲칼리시가 특히 감염 전파력이 크다. 범백혈구감소증은 개파보바이러스와 비슷하지만 다른 고양이파보바이러스(FPV)가 일으키는 장염이다. 혈액 내 백혈구 수치가 떨어지며 면역력이 급감하는 게 특징이다.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감염돼 고양이 허피스가 발생하면 주로 눈과 코에 문제가 생긴다. 눈곱이 많아지거나 결막염이 생기고, 구내염이 발생할 수 있다. 콧물이 많아지거나 기침을 하기도 한다. 칼리시바이러스에 감염된 고양이 역시 재채기·열·콧물·눈곱 등 증상을 보인다. 입안에 궤양이 생기기도 한다.

개와 고양이 공통으로 전파에 주의해야 하는 것은 피부사상균이다. 피부사상균은 곰팡이의 일종으로, 면역력이 떨어지거나 피부 장벽이 손상됐을 때 잘 감염된다. 탈모나 가려움을 유발할 수 있다. 사람에게도 감염될 수 있으므로 보호자도 주의가 필요하다.

◇약 다 먹일 때까지 격리를
일부 개체에게 전염성 질환이 발생했다면, 증상이 나타난 동물들을 별도 공간에 격리해야 한다. 같은 공간에서 생활하게 두면 서로 몸을 부대끼거나 밥그릇·음식물·장난감 등에 묻은 체액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질병이 확산한다. 감염된 동물이 재채기할 때 공기 중에 퍼진 비말로 전파되기도 한다. 서로 항문을 핥아 줄 때 분변을 통해 옮아갈 수도 있다. 문종선 원장은 “아픈 동물들은 밥을 따로 챙겨주고, 대소변을 누는 공간도 별도로 만들어 누는 즉시 치우는 게 좋다”며 “아픈 동물을 만진 보호자를 통해서도 병이 전파될 수 있으므로 보호자도 접촉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겉보기에 증상이 사라졌다고 임의로 합사해선 안 된다. 처방받은 약을 다 복용할 때까지는 계속 격리하는 게 좋다. 집 구조상 격리가 어렵다면 발병한 동물들을 동물병원에 입원시켜야 한다.

생활 공간을 분리해도 비말을 통한 전파는 완전히 차단하기 어렵다. 그래서 예방접종이 필요하다. 개 종합백신(DHPPI)만 접종해도 개파보바이러스와 디스템퍼를 예방할 수 있다. 고양이 역시 종합백신(FVRCP)으로 범백혈구감소증·허피스·칼리시를 모두 예방할 수 있다. 수의학적으로 권장되는 백신이어도 접종이 법적 의무는 아니라 생략하는 보호자도 있다. 그러나 개나 고양이를 여러 마리 기른다면 접종하는 게 좋다. 개 디스템퍼는 감염되면 10마리 중 9마리는 사망한다. 고양이 범백혈구증후군 역시 어린 고양이에게서는 치사율이 90~95%에 달한다. 허피스나 칼리시 등을 앓은 고양이는 나은 후에도 만성적 기관지염을 달고 살 수 있다. 애초에 안 걸리는 게 최선이다.

진드기 등 외부기생충은 바르거나 먹는 예방약을 주기적으로 복용하면 쉽게 예방된다. 고양이는 개처럼 산책을 안 하니 외부기생충에 감염될 일도 없을 것 같지만, 그래도 예방약을 먹여야 한다. 문종선 원장은 “개에게 흔한 외부기생충 중 하나인 심장사상충은 드물게 고양이에게도 감염되고, 개보다 고양이에게서 급사를 유발할 위험이 훨씬 크다’며 “개와 함께 사는 고양이는 심장사상충 예방약을 주기적으로 먹이는 게 좋다”고 말했다. 일부 동물이 기생충에 감염된 게 확인됐다면, 겉보기에 이상 증상이 없는 다른 반려동물들도 병원에 데려와 검사받는 게 좋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9/20/2024092002281.html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