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아주대학교병원 응급실 앞으로 환자가 지나가고 있다./사진=뉴스1
응급실 운영 축소에 대한 우려가 전국으로 확산하는 가운데 정부가 대부분의 응급실이 24시간 운영되고 있다며 반박하고 나섰다.
보건복지부는 2일, 응급의료 등 비상진료 대응 관련 브리핑을 열고 응급실이 24시간 열려 있다고 밝혔다. 중앙응급의료센터 종합상황판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의료인력 신고 자료 등에 따르면 전국 응급실 409곳(권역응급의료센터 44곳·지역응급의료센터 136곳·지역응급의료기관 229곳) 중 3곳을 제외한 406곳이 24시간 운영 중이다. 응급실 운영이 부분 중단된 곳은 세종충남대병원과 강원대병원, 건국대충주병원 등 지역응급의료센터 3곳이다.
전국 응급실 409곳 중 6.6% 상당인 27곳은 병상을 축소해 운영 중이다. 지난달 30일 기준 응급의료기관 병상은 5918개로, 전공의들의 집단사직 이전인 2월 첫째 주 6069개 대비 2.5% 줄었다. 권역응급의료센터 병상은 1181개로 7.1% 줄었고, 지역응급의료센터 병상은 2천630개로 2.8% 감소했다. 지역응급의료기관 병상은 2107개로 도리어 0.8% 늘었다.
응급의학과 전문의 수는 큰 변동이 없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신고 기준으로 권역·지역 응급의료센터 180곳의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지난 해 12월, 1504명이었는데, 지난달 26일에는 1587명이었다. 다만 전공의 집단 사직으로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전문의, 일반의, 전공의를 포함한 전체 의사 인력은 평시 대비 73.4%에 그친다.
문제는 배후진료다. 배후진료란 응급실에서 처지 후 해당 과목 전문의가 환자에게 전문적으로 적용하는 치료를 일컫는다. 예컨대 심근경색 환자가 응급실에 내원하면 심전도 및 피검사 등의 처지가 이뤄진 뒤 심장내과 혹은 흉부외과 전문의가 전문적인 치료를 진행해야 환자를 살릴 수 있다. 배후진료가 안 되는 상황에서 응급실만 열려있다고 정상적인 진료가 가능하다는 건 어불성설이라는 게 의료계의 입장이다.
앞서 지난 1일,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는 성명서를 내고 “응급의학과 의사들이 과로를 버티지 못하고 떠나고 있고 최종 치료를 제공해야 할 배후진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 심각한 문제”라며 “응급실이 문을 열고 있다고 해서 모든 의료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것처럼 이야기하는 것은 심각한 정보 왜곡”이라고 밝혔다.
대한응급의학의사회 역시 “정부가 생각하는 응급실의 위기는 문을 닫는 것이고, 문만 열려 있으면 위기가 아니라고 생각을 하는 것 같다”며 “문을 열어도 기능을 못 하면 그게 위기”라고 말하기도 했다.
정부도 배후진료의 어려움을 부정하는 건 아니라는 입장이다. 박민수 차관은 “응급실 진료가 제한되면 배후진료가 어떤 사정으로 인해서 진행이 안 된다는 뜻이기 때문에 현장에서 어려움이 큰 것은 인정한다”며 “그것을 부정하는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다만 박 차관은 전공의 공백 전에도 인력은 여유가 없었고, ‘응급실 뺑뺑이’도 있었고 말했다. 그는 “전공의는 전체 1만 3000명이고 일부 복귀자를 빼면 실제로는 1만 명 정도가 의료 현장을 떠났다”며 “이로 인해 배후진료와 응급실 역량이 평시에 비해 20~30% 떨어지다 보니 중증 위주로 우선순위를 정해 진료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상황을 엄중히 생각하고 빠른 시일 내 해소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는 2일, 응급의료 등 비상진료 대응 관련 브리핑을 열고 응급실이 24시간 열려 있다고 밝혔다. 중앙응급의료센터 종합상황판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의료인력 신고 자료 등에 따르면 전국 응급실 409곳(권역응급의료센터 44곳·지역응급의료센터 136곳·지역응급의료기관 229곳) 중 3곳을 제외한 406곳이 24시간 운영 중이다. 응급실 운영이 부분 중단된 곳은 세종충남대병원과 강원대병원, 건국대충주병원 등 지역응급의료센터 3곳이다.
전국 응급실 409곳 중 6.6% 상당인 27곳은 병상을 축소해 운영 중이다. 지난달 30일 기준 응급의료기관 병상은 5918개로, 전공의들의 집단사직 이전인 2월 첫째 주 6069개 대비 2.5% 줄었다. 권역응급의료센터 병상은 1181개로 7.1% 줄었고, 지역응급의료센터 병상은 2천630개로 2.8% 감소했다. 지역응급의료기관 병상은 2107개로 도리어 0.8% 늘었다.
응급의학과 전문의 수는 큰 변동이 없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신고 기준으로 권역·지역 응급의료센터 180곳의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지난 해 12월, 1504명이었는데, 지난달 26일에는 1587명이었다. 다만 전공의 집단 사직으로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전문의, 일반의, 전공의를 포함한 전체 의사 인력은 평시 대비 73.4%에 그친다.
문제는 배후진료다. 배후진료란 응급실에서 처지 후 해당 과목 전문의가 환자에게 전문적으로 적용하는 치료를 일컫는다. 예컨대 심근경색 환자가 응급실에 내원하면 심전도 및 피검사 등의 처지가 이뤄진 뒤 심장내과 혹은 흉부외과 전문의가 전문적인 치료를 진행해야 환자를 살릴 수 있다. 배후진료가 안 되는 상황에서 응급실만 열려있다고 정상적인 진료가 가능하다는 건 어불성설이라는 게 의료계의 입장이다.
앞서 지난 1일,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는 성명서를 내고 “응급의학과 의사들이 과로를 버티지 못하고 떠나고 있고 최종 치료를 제공해야 할 배후진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 심각한 문제”라며 “응급실이 문을 열고 있다고 해서 모든 의료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것처럼 이야기하는 것은 심각한 정보 왜곡”이라고 밝혔다.
대한응급의학의사회 역시 “정부가 생각하는 응급실의 위기는 문을 닫는 것이고, 문만 열려 있으면 위기가 아니라고 생각을 하는 것 같다”며 “문을 열어도 기능을 못 하면 그게 위기”라고 말하기도 했다.
정부도 배후진료의 어려움을 부정하는 건 아니라는 입장이다. 박민수 차관은 “응급실 진료가 제한되면 배후진료가 어떤 사정으로 인해서 진행이 안 된다는 뜻이기 때문에 현장에서 어려움이 큰 것은 인정한다”며 “그것을 부정하는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다만 박 차관은 전공의 공백 전에도 인력은 여유가 없었고, ‘응급실 뺑뺑이’도 있었고 말했다. 그는 “전공의는 전체 1만 3000명이고 일부 복귀자를 빼면 실제로는 1만 명 정도가 의료 현장을 떠났다”며 “이로 인해 배후진료와 응급실 역량이 평시에 비해 20~30% 떨어지다 보니 중증 위주로 우선순위를 정해 진료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상황을 엄중히 생각하고 빠른 시일 내 해소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교류의 장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고물가에 쪼그라든 추석 선물, 가격 그대론데 용량 줄인 업체도 (0) | 2024.09.08 |
---|---|
스크랩 ‘셀프 처방’해 마약 투약한 의사, 올해만 5000명… 옥시코돈 14만 정 투약 사례도 (0) | 2024.09.06 |
스크랩 94번째 생일 맞았다… ‘워런 버핏’의 장수 비결 6가지 (0) | 2024.09.06 |
스크랩 전화 대신 ‘이것’ 해드려야… 나이 든 부모님 외로움 더는 방법 (0) | 2024.09.06 |
스크랩 만사 귀찮고 단 음식만 당겨… 가을에 취약한 '이 정신질환'일 수도 (0) | 2024.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