풋콩은 일반 콩에 비해 메티오닌과 이소플라본 성분이 풍부하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처서(處暑)가 지나고 가을이 다가오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완전히 가을이 온 것은 아니다. 여전히 덥고 뜨겁다. 여름이 다 가기 전 꼭 먹어야 할 음식이 있다, 바로 ‘풋콩’이다. 풋콩은 대두가 노란빛으로 다 익기 전에 수확한 콩이다. 더위가 시작되는 7월 말부터 9월 초까지가 제철이다. 노란색이나 갈색인 콩과 달리 연두색이나 초록색이다. 풋콩을 살 때는 색이 선명하고 쉽게 구부러지는 것을 고르는 것이 좋다. 뻣뻣한 것은 맛이 덜하다. 풋콩은 소금을 약간 넣은 물에 콩깍지째 넣어 삶은 후 바로 까서 먹으면 좋다. 풋콩은 일반 콩보다 ‘메티오닌’ 함량이 높다. 9개의 필수 아미노산인 메티오닌은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위 점막 보호와 손상된 위벽을 치유하는 효과가 있다. 메티오닌은 강력한 항산화 물질을 생성하는데, 세포를 보호하고 미백 기능을 하기도 한다. 특히 메티오닌은 알코올로 인한 간 손상을 막는 데 이롭다. 따라서 술집에 갔을 때 풋콩이 기본 안주로 나오는 경우를 볼 수 있다. 풋콩에는 ‘이소플라본’이라는 콩 단백질이 풍부하다. 이소플라본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폐경기 여성이 얼굴이 붉어지거나 심리상태가 급격히 변하는 등의 증상을 완화한다. 이소플라본을 식물성 에스트로겐(식물성 여성호르몬)이라고 부른다. 또한 노화로 인해 뼈의 밀도가 떨어지는 골다공증을 예방하기도 한다. 미국식품의약국(FDA)은 하루에 이소플라본을 25mg 이상 먹는 게 좋다고 권고했다. 풋콩은 100g당 약 열량이 121kcal, 탄수화물이 10g, 단백질이 11g 들어 있다. 열량이 낮고 풍부한 단백질, 비타민, 섬유질이 들어 있어 다이어트 식품으로 좋다. 특히 풋콩의 탄수화물은 몸 안에서 천천히 흡수돼, 혈당 수치가 급하게 오르는 일이 없다. 이로 인해 풋콩을 당뇨병 환자의 간식으로 권하기도 한다. 풋콩을 먹는 방법은 다양하다. 샐러드, 스튜 등 요리에 추가해 먹거나 밥에 넣어 콩밥을 만들어 먹을 수도 있다. 또한 풋콩을 삶아 으깬 후 빵가루, 다진 양파, 다진 마늘, 당근 등을 넣어 고기가 들어가지 않은 비건 패티를 만들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데친 풋콩에 소금과 후추를 살짝 뿌려 기름에 볶아 안주로도 즐길 수 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8/22/2024082202570.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일반 건강상식 > 식품,차,음료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계란 먹으면, 노년기 '인지력 저하' 걱정 뚝… 하루 몇 개? (0) | 2024.08.30 |
---|---|
스크랩 ‘바삭’ 동결건조 식품, 집에서도 만들 수 있다 [주방 속 과학] (0) | 2024.08.29 |
스크랩 팔팔 끓였으니 괜찮겠지… 옥수수차·보리차 ‘이렇게’ 보관하면 세균 덩어리 (0) | 2024.08.27 |
스크랩 요즘 하우스 귤 정말 맛있던데… 덥고 습한 날씨, 보관은 어떻게? (0) | 2024.08.23 |
스크랩 비 내리면 커피 맛 ‘더 풍미있다’… 사실일까? (0) | 2024.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