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음식을 배달시키면 간혹 뜨거운 국물이 얇은 비닐봉지 두 겹에 포장돼 오거나, 랩에 쌓여오곤 한다. 혹여 비닐 속 환경 호르몬이 음식에 녹아들진 않을지 걱정될 수 있다. 괜찮은 걸까? 플라스틱 종류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 따르면 7종류로 나뉜다. ▲페트(PET)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틸렌(PS) ▲폴리염화비닐(PVC) ▲복합재질(OTHER) 등이다. 포장재가 어떤 성분으로 제조됐는지에 따라, 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지가 달라진다. ◇비닐봉지, 110도 이하 음식 포장은 괜찮아 비닐봉지에는 뜨거운 국·탕을 넣어도 의외로 안전하다. 식품용으로 사용되는 비닐봉지의 원료는 주로 HDPE, LDPE 등이다. 국·탕의 최고 온도는 100도 내외로, 일반적으로 포장할 땐 100도 아래로 떨어진다. HDPE, LDPE의 내열 온도는 각각 120도, 110도다. 비닐에 국이나 탕을 넣어도 비닐은 녹지 않고, 성분이 용출되지도 않는다. 환경호르몬도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의 기준 및 규격'을 통해 포장재를 관리하고 있다. 식품용 용기에는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를 사용할 수 없고, 프탈레이트, 비스페놀 A 등 물질은 리터 당 30mg 이하로 규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비닐·플라스틱 등에서 용출될까 우려되는 환경호르몬이 비스페놀 A인데, 비닐에는 비스페놀 A가 아예 들어가지 않는다. 비스페놀 A는 폴리카보네이트(PC)의 원료 물질인데, PC는 열에 약해 비닐봉지 등 내열이 필요한 용기에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PP, PE, PET, PS라고 표시된 플라스틱 그릇에서는 비스페놀 A나 프탈레이트류의 원료가 사용되지 않으므로, 환경호르몬 용출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조리 후 표면 온도가 200도까지 올라갈 수 있는 튀김류 등 지나치게 뜨거운 음식을 담았을 땐 비닐이 녹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랩 사용 전 플라스틱 종류 확인해야 랩은 위험하다. 음식점, 대형마트 등에서 사용하는 업소용 비닐 랩에는 접착력이 우수한 PVC가 사용된다. PVC로 랩을 만들 땐 유연성과 신축성을 높이기 위해 프탈레이트류 가소제를 15~30% 정도 사용한다. 온도가 높거나 지방 함량이 많은 성분이 랩에 닿으면 환경호르몬인 프탈레이트류 성분이 식품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프탈레이트류는 급성 독성은 낮지만, 생체 대사 장애를 유발할 수 있고 호르몬의 생리작용을 교란할 수 있다. 랩을 안전하게 사용하려면 고깃국물, 갈비, 전 등 기름기가 많은 음식은 랩이 직접 닿지 않도록 오목한 그릇에 넣어 포장해야 한다. 지방 성분이 있는 음식을 랩으로 싸서 보관하려면 가능한 저온에서 보관해야 하고, 랩으로 싸서 냉동된 식품은 랩을 벗긴 후 해동·조리해야 한다. 혹여 랩이 잘 벗겨지지 않는다면 전자레인지에 살짝만 해동한 후 랩을 벗기고 조리해야 한다. 전자레인지 조리를 할 때는 랩을 씌우지 않는 게 좋지만, 꼭 필요하다면 랩이 식품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틈을 줘야 한다. 과일, 채소 등 지방 성분이 적은 식품은 랩에 싸서 보관해도 괜찮다. 한편, 가정용 랩은 주로 비닐봉지와 같은 성분인 HDPE, LDPE로 제조돼 가소제가 사용되지 않아 뜨거운 식품 포장용으로 사용해도 괜찮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8/16/2024081602050.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교류의 장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직장 스트레스 큰 사람, ‘이 병’ 위험 큰 것 연구로 밝혀져 (0) | 2024.08.22 |
---|---|
스크랩 폐경 앞둔 여성 ‘이 정신질환’ 발생 위험 2배 급증… 英 연구 결과 (0) | 2024.08.21 |
스크랩 급격히 늙는 시기 정해져 있다… 44세 때 한 번, 그리고? (0) | 2024.08.20 |
스크랩 美 타임지 선정 ‘올해의 어린이’, 어떤 특별한 비누 고안했길래? (0) | 2024.08.20 |
스크랩 의료인 결격 사유 강화 후… 상반기에만 57명 면허취소 (0) | 2024.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