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치유에 도움/건강운동법

스크랩 아직 젊은데… ○○세 넘었다면, 함부로 달렸다간 ‘돌연사’ 위험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4. 6. 16.

 
자기 신체능력을 벗어난 과도한 운동은 운동유발성고혈압을 일으키고,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심장 돌연사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주의해야 한다./사진=삼성서울병원
40~60세 성인은 마라톤 등 고강도 달리기를 하다가 자칫 심장 돌연사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박경민 교수, 성신여자대학교 운동재활복지학과 김영주 교수 연구팀은 고강도 달리기가 유발하는 운동유발성고혈압의 위험이 높은 나이대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다. 운동유발성고혈압은 평소에 혈압이 정상이더라도 운동할 때 과도하게 오르는 질환이다. 수축기 혈압을 기준으로 남성은 210mmHg, 여성은 190mmHg 이상 올라갈 때 진단한다. 연구팀은 운동유발성고혈압과 관련된 논문 24개를 종합 분석했다.

그 결과, 40~60세 중장년층이 과도한 달리기를 하면 운동유발성고혈압 위험이 크게 오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령, 나이, 인종을 망라하면 운동유발성고혈압의 유병률은 3~4%로 높지 않지만, 중년 남성으로 국한하면 40%로 크게 올랐다. 마라톤을 즐기는 중년으로 범위를 좁히면 56%가 운동유발성고혈압에 해당했다.

운동유발성고혈압은 심근경색의 주요 원인인 죽상동맥경화증을 가속화하고, 심방확장, 심근비대 등을 유발해 치명적인 부정맥으로 악화할 수 있다. 실제로 연구팀이 찾은 한 논문에는 같은 중년층에서 죽상동맥경화증 유병률이 일반인은 22.2%지만, 마라톤 등 지속성 운동을 하는 선수는 44.3%에 달했다. 부정맥 위험도 크다. 걷기나 중간 강도의 달리기는 일반 인구의 심장 부정맥 유병률을 감소시켰지만, 지구력 운동선수는 심방세동 부정맥 위험이 일반인보다 5배 높았다. 한 연구에서는 ▲10년 이상 ▲1주일 세 시간 이상 마라톤 등 고강도 지속성 운동을 하면 심방세동 발병 위험이 커졌다. 심방세동은 돌연사의 주요 원인이다.

박경민 교수는 "40세 이상 중년은 마라톤을 즐기기에 앞서 자기 신체 능력부터 정확히 아는 게 중요하다"며 "심장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운동부하검사와 본인의 심장 건강 상태를 알 수 있는 심장CT검사를 토대로 체계적으로 시작해야 오래, 건강히 달리기를 즐길 수 있다"고 했다.

달리기를 시작한 후엔 단계적으로 운동 강도를 향상해야 한다. 평균적으로 성인은 하루 20~60분, 1주일에 3~5회, 최대 산소소비량(VO2 Max) 40~80%로 시작해 조금씩 강도를 올리는 게 안전하다. 박 교수는 "마라톤을 한다면 적어도 1년에 한 번은 운동 혈압을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심장CT 검사로 관상동맥 석회화가 진행되진 않았는지 살펴봐야 한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저널 '임상의학저널(Journal of clinical medicine)' 최근호에 게재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6/13/2024061301436.html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