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염부터 위암까지 각종 위장질환을 일으킨다고 알려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는 반드시 없애야 하는 대상으로 여겨진다. 문제는 헬리코박터균을 박멸할 수 있는 약은 항생제가 포함돼 있어, 복용 후 심한 설사나 복통이 생기거나 구토를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단 거다. 항생제는 받은 약을 모두 복용해야 한다는 걸 아는 사람들조차 복용을 중단할 정도다. 헬리코박터 제균제를 복용한 후 구토, 설사와 복통 등으로 괴로울 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알아두자. ◇구토 후 재복용 불필요·설사해도 약은 끝까지 많은 이들이 약을 먹은 후 구토를 하면, 약을 새로 먹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경우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헬리코박터 제균제의 경우, 약을 새로 먹을 필요는 없다. 약마다 흡수 시간이 다른데, 헬리코박터 제균제는 구토를 했더라도 이미 약이 흡수된 상태일 가능성이 있다. 약을 먹고 나서 구토를 했더라도 추가로 약을 복용하지 말고 다음 약을 먹어야 할 시간에 약을 챙겨 먹으면 된다. 물론, 만일 구토를 너무 자주 한다면 치료 실패 가능성이 커지므로 의사나 약사에게 잦은 구토 사실을 알려야 한다. 설사를 심하게 할 때도 마찬가지다. 헬리코박터 제균제 복용 후 약이 제대로 흡수됐을까 걱정될 정도로 설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도 약을 추가로 복용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제균제 복용 후 설사나 복통이 심하다고 해서 마음대로 약을 중단해선 안 된다. 제균제 복용을 갑자기 중단하면 항생제 내성이 생겨 치료에 실패할 수 있다. 헬리코박터 제균제에는 고용량 항생제가 포함돼 설사, 복통 등이 불가피하게 발생함을 이해하고, 약 복용을 중단하기보단 탈수현상이 생기지 않게 수분을 보충해야 한다. 설사나 복통을 혼자 해결해보겠다고 지사제나 진통제를 복용해서도 안 된다. 지사제나 진통제는 헬리코박터 제균제 흡수를 방해하거나 이상 증상에 대한 감별을 어렵게 할 수 있다. 다만 2일 이상 설사나 복통이 지속할 경우 의료진과 상의해야 한다. 한편, 헬리코박터균은 위장질환 외에도 심혈관계질환, 당뇨병, 퇴행성 신경질환을 일으킬 수 있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특히 헬리코박터 제균치료는 위암 발생 위험을 대폭 낮출 수 있다고 알려졌다. 국내외 연구에 따르면,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는 위암 발생 위험을 약 50% 낮춘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5/21/2024052101750.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청천고부내
'교류의 장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긁힌 적도 없는데’ 흠집 가득한 안경… ‘이곳’에 쓰고 간 게 원인? (0) | 2024.05.23 |
---|---|
스크랩 항상 이기는 팀과 선수… 그 비결은 ‘위닝 멘탈리티’에 있다 (0) | 2024.05.23 |
스크랩 식약처, 무인카페 위생관리 나서 (0) | 2024.05.22 |
스크랩 기후변화가 치매·뇌전증·우울증 등 뇌 질환의 원인? (0) | 2024.05.21 |
스크랩 매일 사용하는 냉장고, ‘이곳’에 세균 득실… 놓치기 쉬운 공간 3 (0) | 2024.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