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정기적으로 배송받는 구독형 도시락에서 식중독균이 검출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최근 1~2인 가구가 늘면서 일정 비용을 내고 원하는 식품을 정기적으로 배송받는 구독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 다만 도시락 등 바로 섭취해야 하는 식품들은 식중독균에 취약해 주의가 요구된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온라인서 판매되는 구독형 도시락에 대한 안전성을 조사했다. 그 결과, 조사 대상 54개 중 4개 제품에서 식중독을 일으키는 병원성 세균인 살모넬라(1개 제품)와 대장균(1개 제품),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2개 제품)가 검출돼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모든 도시락의 식품유형은 바로 섭취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즉석섭취식품 아니면 즉석조리식품이었다.
식약처에 따르면 살모넬라는 냉장보관에도 장기간 생존할 수 있고 감염되면 구토, 설사, 발열 등 급성 위장염 유발한다. 또 대장균은 식중독을 가장 많이 일으키는 세균으로 감염되면 설사, 복통, 구토 등의 증상과 혈변, 피로감, 탈수 증상을 동반한다. 마지막으로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는 냉장보관 및 진공포장에서 증식할 수 있는 저온성 세균으로 감염되면 설사, 고열, 오한, 근육통 등의 증상을 동반하고 임신부의 경우 유산, 조산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병원성 세균 및 대장균이 검출된 제품들./사진=한국소비자원 제공
이번 조사에서 병원성 세균 및 대장균이 검출된 제품은 ‘부채살수비드’, ‘평양비빔밥’, ‘굶지마요참치덮밥’, ‘하이라이스&소시지’ 4개 제품이다.
해당 제품을 제조·판매한 사업자는 한국소비자원의 시정권고에 따라 판매중지 및 재고폐기를 완료했다. 이어 식약처에 해당 제품에 대한 점검 등 조치를 요청할 계획이다.
한국소비자원은 해당 제품으로 인해 피해가 발생한 경우 1372소비자상담센터 또는 소비자24를 통해 상담을 신청할 것을 권고했다. 아울러 냉장·냉동식품을 조리 및 섭취할 때 제품에 표시된 가열방법, 시간 등 주의사항을 반드시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4/16/2024041601299.html
'교류의 장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실내서 외출화 신기’ 해외선 아직 논란… ‘취향 존중’ vs ‘전염병 위험’ (0) | 2024.04.18 |
---|---|
스크랩 미세플라스틱 똥으로 나오는 줄 알았더니… ‘여기’서도 발견 (0) | 2024.04.17 |
스크랩 종일 비오는 날… 몸 ‘이곳’ 문제 있는 사람은 주의 (0) | 2024.04.16 |
스크랩 손 씻을 때 ‘이 습관’, 자글자글 주름 더 깊게 해 (0) | 2024.04.16 |
스크랩 사직 전공의 1360명 복지부 차관 직권남용으로 고소… "경질해야 복귀" (0) | 2024.04.16 |